말씀 안으로/요한복음에서 말해진 I AM

요한복음에서 표현된 I AM - 나는 길이요 진리요 생명이다(3)

징검 다리 2024. 5. 8. 07:33

브로디 티보도우

하나님이 그곳에 계셨습니다. 멀리서 보면 성막 구조 전체가 전능자의 거처인 것처럼 보이지만, 자세히 살펴보면 주님의 위치가 훨씬 더 구체적이고 정확하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이 직사각형 구조물의 가장 서쪽 부분에는 주님께서 “긍휼의 자리 위 곧 증언궤 위에 있는 두 그룹 사이”(출 25:22)에서 그분의 백성과 만나고 대화하시겠다고 약속하신 가구가 서 있었습니다.[1]

법궤와 속죄소는 하나님의 임재를 상징하기 때문에 그 중요성에 대해 많이 언급되지만, 여호와께서는 성막의 모든 세부 사항의 중요성을 강조하실 때 단호하셨습니다(히 8:5). 하나님께서 죄로 더럽혀진 백성과 함께 거하시려면 모세에게 묘사된 각 그릇이 필요했습니다. 또한 회중의 대표자가 하나님의 임재 가운데로 들어가려면 특징과 기능의 모든 세부 사항을 준수해야 하며, 그 방법은 각 그릇이 하나님의 표준에 따라 만들어지는 것에 달려 있었습니다.

요한복음은 처음부터 끝까지 성막의 영향을 받았습니다. 그 미묘한 주제 중 하나는 주 예수님이 성막 가구의 원형이라는 것입니다. 간단한 검색을 통해 네 번째 복음서에서 각 성막의 그릇을 찾아볼 수 있는지 살펴봅시다.

속죄소: 브살렐이 능숙하게 제작하여 가장 성스러운 곳에서 발견된 이 속죄소의 재료는 순금으로 만들어져 우리가 가장 관심을 갖는 소재입니다. 우리에게 신성을 말하는 금은 요한복음의 첫 구절인 “말씀이 곧 하나님이시니라”에서 우리를 멈추게 합니다. 처음부터 우리는 주 예수님의 신성에 대해 의심의 여지가 없습니다. 그분은 신이십니다.

법궤: 속죄소와 불가분의 관계에 있는 이 궤는 다른 물질, 즉 순금으로 입힌 결이 곱고 “썩지 않는” 조각목으로 만들어졌습니다. 그래서 우리 앞에 또 다른 그림이 등장합니다. 금은 여전히 존재하지만 이제는 그리스도의 거룩한 인성의 상징과 결합되어 있습니다. 이 안에서 우리는 성육신의 아름다운 그림을 볼 수 있으며, 요한복음 1:14절의 “말씀이 육신이 되어 [되었다]”라는 말씀에 감탄하게 됩니다.

향단: “첫 장막”(히 9:6)의 세 가지 항목 중 하나는 분향을 계속하는 데 사용된 금제단입니다. 향은 그리스도의 적어도 두 가지 다른 측면을 보여 주는 그림이 될 수 있습니다. 첫째, 그것은 그분의 삶이 아버지께 가져다준 기쁨이며, 요한복음 8:29절에서 “내가 그분을 기쁘게 하는 그것들을 항상 행하기 때문이라”는 말씀에서 알 수 있습니다. 그런 다음, 우리는 향이 기도를 예시한다는 것을 인정하고(시 141:2, 계 5:8), 요한복음 17장에서 주기도문의 대제사장적 성격이 이러한 유형을 성취한다는 것을 발견합니다.

진설병의 상: 이 상에 진설된 빵은 고운 가루로 만들어 유향을 넣어 구운 것이었습니다. 이것은 고난과 슬픔의 삶으로 아버지께 달콤한 향기를 내셨던 완전한 인성을 지닌 주 예수님을 말합니다. 요한복음 6장의 주님의 생명의 떡 담화에서 이 빵의 주제가 확대된 것을 볼 수 있습니다.

금촛대: 여기서도 금이 우선시되며 그리스도의 신성과 성령 충만한 사역이 드러납니다. 그러나 기본적으로 이 등잔대는 빛을 비추기 위해 고안된 것으로, 요한복음을 보는 데 있어 상상력을 확장할 필요는 없습니다. 1장의 “그 안에 빛이 있었으니”부터 8장의 “나는 세상의 빛이라”까지, 그분의 성품이 네 번째 복음서의 페이지를 밝게 비춥니다.

놋제단: 성막의 바깥뜰에는 두 가지 물건이 있었습니다. 뜰에 들어서면 가장 먼저 보이는 것은 놋(구리)을 덧댄 나무로 만든 이 제단입니다. 여기서 우리는 주 예수 그리스도의 십자가에서의 대속적 희생과 고난을 볼 수 있습니다. “세상 죄를 지고 가는 하나님의 어린 양”이라는 침례자의 말에서 이 성취를 볼 수 있습니다. 그러나 우리는 또한 “다 이루었다!”라는 승리의 외침으로 절정을 이루는 그리스도의 고난에 대한 요한의 묘사가 우리를 하나님께 나아갈 수 없는 이 제단으로 인도한다는 것을 알고 있습니다.

물두멍: 이 물건은 정결함을 위해 고안된 것으로, 이 물건 없이는 성막 문에 들어갈 수 없었습니다. 물두멍의 물은 하나님의 말씀과 그 정결의 효과를 상징합니다. 다락방 사역의 시작에 나오는 발 씻기 담론은 거룩함의 필요성을 상기시키며, 물두멍에 대한 요한의 대답입니다.

요약하자면, 문에서 지성소로 들어가는 길을 보면 먼저 (그리스도를 상징함) 놋제단을 지나고, (그분의 정결케 하시는 능력을 상징함) 물두멍에서 씻은 다음, 문으로 들어가면 진설병과 금 촛대, 분향단이 모두 조화를 이루며 그분을 설명하는 역할을 하고 있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쉐키나의 영광이 있는 곳으로 이동하면 법궤와 속죄소가 아들의 아름다움과 성품을 증거합니다. 모든 단계에서 우리는 그분이 길이시기 때문에 그분을 봅니다. 따라서 주 예수 그리스도는 아버지께로 가는 우리의 길입니다.

하지만 우리에게 도움이 되는 또 다른 참고 문헌을 고려해 봅시다. 히브리서 기자는 그러한 그릇과 희생 제물이 있더라도 대제사장만이 일 년에 한 번 홀로 지성소에 들어갈 수 있다고 말합니다. “지성소로 들어가는 길이 아직 드러나지 아니하였다는 것을 겉으로”(히 9:8) 다른 어떤 사람도 여호와의 임재에 들어갈 수 없었습니다. 이와는 대조적으로, 히브리서의 “더 나은 것들”이라는 주제에 따라, 우리는 그리스도의 보혈로 인해 모든 그리스도인이 지성소에 들어갈 수 있는 확신을 갖게 되었다고 배웁니다(히 10:19).

보혈은 하나님 앞에서 담대함을 주지만, 그 안으로 들어가는 길은 어떻게 될까요? 그것은 “새롭고 산 길로 ...”(20절)라는 말로 해결됩니다. 이 길은 하늘 휘장을 통과하는 그분의 육체입니다. 이제 참 사람이 더 나은 희생과 더 나은 약속에 기초한 더 나은 언약에 따라 하나님의 면전에 들어갔기 때문에 오늘과 매일 우리는 확신을 가지고 하나님을 아버지라고 부르는 모든 장소 중 가장 거룩한 곳으로 나아갑니다. 그분의 임재는 내가 아버지께 나아갈 수 있는 길을 확보하고 보존해 주셨으며, 그분은 길이십니다.

이것으로 이 말씀에 대한 3부작 연구가 끝났습니다. 그분은 아버지를 아는 길입니다(요 14:9). 그분은 우리의 신랑으로서 아버지의 집으로 가는 길입니다. 모든 성막 가구와 제사장의 기능을 완성하신 그분은 지금 우리가 아버지의 거룩한 임재 안으로 들어가는 길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