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이크 녹스
복음전도자의 윤리 (3)
현대 도덕체계는 근거가 없이 공중에 떠 있습니다. 한 철학자는 "인간은 유인원의 후손이므로 서로 사랑해야 한다"[1]라고 윤리적인 논리를 풍자적으로 요약했습니다. 세상은 기독교에서 물려받은 도덕적 가치를 붙잡고 싶어 하면서도 그 기초가 되는 신학적 기반을 포기하고 있습니다. 2:11에서 시작되는 단락은 바울이 디도에게 윤리학(2:1-10)과 그것들을 뒷받침하는 신학(2:11-14)을 함께 가르치라(2:1,15)고 말하는 방식입니다.
"은혜"라는 단어를 주목하세요. "하나님의 은혜가 나타났다"(2:11). 첫째 단어를 주목하세요. 구약 성경에서 도덕성은 계시("주의 말씀이 이러하니라")와 창조(창 1:3; 9:6)뿐 아니라 구속에도 근거를 두고 있습니다(출 20:2). "하나님의 은혜"라는 구절은 바울이 후자의 입장에 호소하고 있음을 분명히 합니다. 근본적인 수준에서 그레데에 있는 거짓 교사들은 모든 것을 잘못하고 있습니다. 그들의 거짓 가르침은 하나님의 은혜(1:10-15)가 아니라 유대인의 신화와 사람이 만든 명령에 기초하고 있기 때문에 "가증하고 불순종하는 자들이요 모든 선한 일에 대해 버림받은 자들이니라"(1:16).
거짓 교사들의 행위 기반 시스템과는 대조적으로 하나님의 은혜가 “나타나” 다시 하나님의 계획과 행동을 강조합니다. 동사 "출현하여 자신을 나타내다”라는 뜻이며, 13절에서 사용된 명사 ejpifavneia(에피파네이아)는 숨겨진 신성의 눈에 띄는 빈번한 갑작스러운 나타남을 가리킵니다.[2] 바울은 문화적으로 적절한 용어를 사용하여 그리스도인이 어떻게 살아야 하는지에 대한 근거는 예수 그리스도의 성육신, 생애, 죽음, 부활에서의 하나님의 은혜의 깨달음이라고 말하고 있습니다.
이 은혜의 위대함은 최악의 죄인(딤전 1:15)을 포함하여 "모든 사람에게 구원"(2:11)을 가져준다는 점에서 알 수 있습니다. 그래서 바울은 자신의 복음 사역에서 엄청난 반대에 직면했던 것은 하나님의 은혜의 포용성 때문이었습니다. 그래서 바울은 이 은혜가 우리를 영원토록 구원할 뿐만 아니라 현재의 삶의 방식을 가르쳐주는 은혜라고 재빨리 지적합니다.
우리를 훈련하는 은혜
"하나님의 은혜가 모든 사람에게 나타나 우리를 가르치시되 하나님의 성품에 위배되는 것과 세상에 속한 정욕들을 우리가 거부하고 이 현 세상에서 맑은 정신을 가지고 의롭게 하나님의 뜻대로 살며"(2:11-12). 우리를 구원하는 은혜는 우리를 거룩하게 하는 은혜입니다. 한편으로 우리는 "경건하지 않음"(하나님과 그로 인해 생기는 삶에 대한 깊은 경시)과 "세상적인 열정"에 대해 "아니오"라고 말하도록 훈련시킵니다. 반면에 은혜는 우리 자신에게("자제력"), 다른 사람들에게("정직함"), 그리고 하나님께("경건함")과 관련하여 거룩한 삶을 살도록 가르쳐줍니다.
하나님의 은혜의 복음(행 20:24)은 그리스도인 도덕적(2:11) 기초이자 우리가 살아가게 하는 교육적 힘(2:12)입니다. 2:12에서 "자제력" 단어는 2:1-10에서 다른 모든 덕목들을 지배하는 단어 그룹의 일부입니다. 거기에서 우리는 올바르게 살기 위한 동기의 일부가 그것이 복음을 촉진한다는 것을 발견했습니다. 믿음은 행동을 형성하고 행동은 믿음을 확산시키며 오직 복음만이 복음을 돋보이게 하는 삶에 힘을 줄 수 있다는 것이 바울이 디도에게 보내는 서신의 조화로운 줄거리입니다.
이것은 자연스러운 질문으로 이어집니다: 복음이 우리에게 어떻게 힘을 실어줄까요? 또는 2:11-12의 표현으로, 하나님의 은혜는 어떻게 우리가 죄를 버리고 대신 자제력 있고, 정직하고, 경건한 삶을 살도록 훈련시킬 수 있을까요? 이 단락은 적어도 세 가지 방법을 보여줍니다. 이 글에서는 첫 번째 방법을 살펴볼 것입니다.
은혜는 우리가 특별한 시대에 살고 있음을 가르칩니다.
이미 언급했듯이, "나타남" 단어 그룹은 이 단락에서 두 번 등장합니다. 2:11-13의 논리를 다음과 같이 단순화하여 설명할 수 있습니다.
하나님의 은혜가 나타나 우리가 위대한 하나님의 영광이 나타날 때까지 기다리며 현 세상에서 절제된 삶을 살아가도록 훈련시킵니다.
우리는 두 가지 나타남 사이에 "현재의 세상에서"(2:12) 살고 있습니다. 우리의 뒤에는 하나님의 은혜가 나타나고 있습니다. 우리의 앞에는 그분의 영광이 나타나고 있습니다.[3] 두 산 사이에 지어진 집을 상상해보십시오. 바로 그 집안의 삶이 모든 면에서 그 두 산의 실재에 영향을 받는 것처럼, 현 시대에 우리의 삶은 양쪽에서 그 집을 감싸고 있는 하나님의 은혜와 하나님의 영광의 현현에 의해 근본적으로 형성되어야 합니다.
아마도 우리는 이러한 과거와 미래의 모습을 세속적인 모습으로 바꾸어 봄으로써 현재 우리의 삶에 미치는 힘을 느낄 수 있을 것입니다. 세속적인 이야기에서는 백미러에 비친 시야와 우리가 향하는 지평선이 허무로 가득 차 있습니다. 삶의 궤적은 무의미한 사고로 시작하여 우주의 종말에서 끝나는데, 그 사이에는 목적과 의미를 찾기 위한 힘겨운 싸움만 있을 뿐입니다. 다시 말해, 인생은 비극입니다.[4] 그 이야기가 우리를 올바르게 살도록 훈련시킬까요?
하나님을 찬양하십시오, 현실은 훨씬 더 낫습니다! 신자의 삶은 사실 코미디(셰익스피어의 해피 엔딩 의미에서)입니다. 우리의 과거에는 하나님의 은혜가 나타나고; 우리의 미래에는 하나님의 영광이 나타납니다. 우리는 되돌아보면 위대한 은혜의 산을 봅니다: 하나님이 우리에게 독생자를 주셨습니다. 그 아들은 "우리를 위해 자신을 주셨으니 이것은 모든 불법으로부터 친히 우리를 구속하시고 정결하게"(2:14) 해주셨습니다. 우리 앞에는 위대한 영광의 산, 즉 피로서 우리를 사랑하셨던 분과 함께하는 무한한 기쁨의 삶이 있고, 그분 안에서 우리의 모든 갈망이 성취될 것입니다. 은혜는 우리가 실제로 특별한 시대에 살고 있음을 가르쳐줍니다.
그것은 "우리의 복된 소망을 기다라는" 때이며 그 내용은 "위대하신 하나님 곧 우리의 구원자 예수 그리스도의 영광스런 나타나심"(2:13)입니다. 마지막 두 단어인 "예수 그리스도"는 이 구절의 앞 부분의 어떤 것에 대립되는 단어입니다. 문제는 무엇인가요? 세 가지 선택이 있습니다. "예수 그리스도"는 (1) "구주"라는 단어 (2) "우리 위대하신 하나님과 구주"라는 구절; 또는 (3) "우리 위대하신 하나님과 구주의 영광"이라는 전체 구절과 함께 동일시되어야 합니다. 흠정역은 "위대하신 하나님 곧 우리의 구원자 예수 그리스도"를 우리에게 제공하는 첫 번째 견해를 취합니다. 이 해석은 성경(성경 어디에도 아버지와 아들이라는 두 신성한 위격이 등장한다는 내용은 없음), 문법(그랜빌 샤프 규칙이 이 그리스어 구성에 적용되어 "하나님"과 "구주"라는 두 용어가 두 개가 아닌 하나의 실체를 가리킴), 대중적 사용(고대 세계에서 "하나님과 구주"라는 칭호는 일반적으로 한 사람/신격을 가리키는 데 사용됨) 등에 의해 배제할 수 있습니다. 두 번째 견해가 대다수의 견해입니다. 그러나 11절의 등장과의 평행성(여기서 하나님의 은혜의 등장이 아버지의 은혜를 가리킨다는 점을 감안할 때 13절의 하나님의 영광의 등장이 아들의 영광을 가리킬 가능성은 낮습니다)과 이 단락의 양쪽(2:10, 3:4)에서 아버지 하나님을 지칭하기 위해 "구주" 칭호를 사용한 것은 반대합니다. 세 번째 옵션이 남습니다: 예수 그리스도는 우리의 위대하신 하나님이자 구주의 영광입니다(히 1:3, 요 1:14, 12:41, 고후 4:4-6).[5] 하나님의 은혜가 그리스도의 성육신으로 나타난 것처럼, 언젠가 영광의 주님이 나타나실 때 하나님의 영광이 이 세상에 밝아올 것입니다.
저는 약혼과 결혼 사이의 때를 기억합니다. 과거에 내게는 그녀의 "예"(은혜!)가 있었다; 내 앞에는 결혼식(영광)에서 그녀의 "나는 한다(영광)”이 있었습니다. 두 사건은 그 사이의 삶을 통제하며 절제력을 기르고, 가정을 준비하며 기대감으로 기다리는 법을 훈련시켰습니다. 특별한 때였습니다. 그것은 믿는 자들도 마찬가지입니다. 우리는 위대한 하나님 곧 구주의 영광인 우리 주 예수 그리스도의 위격의 복된 소망을 기다리고 있습니다. 그 위대한 시간 속에서 절제와 목적을 가지고 살아갑시다. 현실의 이야기인 복음 이야기는 행복한 결말로 끝납니다.
[1] 디모데 켈러 하나님을 이해하기 42쪽에서 인용,
[2] BDAG 어휘집.
[3] 어떤 사람들은 시편 22, 24, 23을 각각 은혜의 나타나심, 영광의 나타나심, 그리고 각각 현재 일어나는 것을 연결시키는 것을 즐겼습니다.
[4] 글렌 스크리브, "인생은 코미디인가?"라는 강연에서
[5] 이 견해에 대한 가장 강력한 사례는 타우너와 고든 피의 바울서신의 기독론 해설 440-448쪽을 참조하십시오,
'말씀 안으로 > 디도서:전반적인 생활' 카테고리의 다른 글
디도서: 전반적인 생활(2) (0) | 2018.10.24 |
---|---|
디도서: 전반적인 생활(3) (0) | 2018.10.24 |
디도서: 전반적인 생활(4) (0) | 2018.10.24 |
디도서: 전반적인 생활(5) (0) | 2018.10.24 |
디도서: 전반적인 생활(6) (0) | 2018.10.24 |
디도서: 전반적인 생활(8) (0) | 2018.10.24 |
디도서: 전반적인 생활(9) (0) | 2018.10.24 |
디도서: 전반적인 생활(10) (0) | 2018.10.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