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로그 이미지
징검 다리
그분은 모든 사람이 구원을 받고 진리를 아는 데 이르기를 원하시느니라(딤전 2:4) __________ 신앙상담은 asan1953@naver.com

calendar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Recent Post

theWord Bible Software

Category

Chapter 6 - The Local Church And Its Commemoration
6: 지역 교회와 그 기념(1)

J. 패터슨 Jnr. 스코틀랜드

Introduction

There can be few believers who fail to remember the first occasion of gathering in fellowship with their local assembly to remember the Lord Jesus Christ. The evocative memory of being in the quiet atmosphere, meeting with the full attention of the gathered company centred on the One in the midst, lives on in the minds of most. While each was called out and gathered by an external force as is the meaning of Matt.18.20, “For where two or three are gathered together in my Name, there am I in the midst of them”, all who gather exercise their willingness to be where our blessed Lord would have us be. The great wonder of gathering unto His Name is not the fact that we gather with Him, but that He meets with us, “being assembled together with them” Acts 1.4.

 

소개

주 예수 그리스도를 기념하기 위해 그들의 지역모임과 더불어 교제에 모여 첫 행사를 기념하지 못하는 신자들이 있을 수 있다. 가운데 한 분을 중심으로 모인 교제의 온 정신을 기울임과 더불어 조용한 분위기 집회 속에서 존재하심을 떠올리는 기억은 대부분의 마음에 살아있다. 각각 불러내어졌고 외적인 힘으로 모였을지라도 두 세 사람이 내 이름으로 모인 곳에는 나도 그들 중에 있느니라”(18:20)의 의미이고, 모든 사람이 우리의 복되신 주님께서 우리를 품으실 곳에 기꺼이 그들의 실행으로 모인다. 그분의 이름으로 모이는 가장 큰 놀라움은 우리가 그분과 함께 모인다는 사실은 아니지만, 그분께서 우리와 함께 만나신다, “그들(사도)과 함께 모이사”(1:4).

 

On these hallowed occasions we participate in the Lord’s Supper, and commemorate Him, and as we shall see, we have clear instruction from the Word of God to do so. The adjective “Lord’s” means, as does the reference in Rev. 1.10, “Lord’s day”, “pertaining to the Lord”, and not “Lordly”. The term “The Lord’s Supper” emphasises the Lordship of Christ, therefore the gathering of a local church is the great privilege of those who, removed from the rebellion of the world and the divisions of Christendom, meet to give a united, corporate confession of that Lordship. We do well to keep in mind as we meet to remember the Lord Jesus Christ, that our remembering is a living vital appreciation, and not cold formality. Therefore our remembrance of Him will constitute only a part of assembly life.

 

이러한 거룩함을 받으시는 행사에 우리는 주님의 만찬에 참여하고, 그분을 기념하고 보는 것처럼, 우리가 그렇게 행하도록 하나님의 말씀에서 분명한 교훈이 있다. 형용사 주님의는 계 1:10에 언급하고 있는 것처럼주님의 날”, “주님께 관련됨을 의미하며, “군주다운이 아니다. “주의 만찬용어는 그리스도의 주되심을 강조하며, 따라서 지역 교회의 집회는 세상의 저항과 기독교계의 경계선에서 옮겨진 사람들의 엄청난 특권이며 주되심을 고백하는 집단의 연합됨을 제공하는 만남이다. 우리는 우리가 주 예수님을 기념하기 위해 만나는 것에 따라 마음으로 잘 유지하고 행하는 우리의 기념함은 살아있는 중요한 감사이며 냉정한 형식이 아니다. 따라서 우리의 그분에 관한 기념은 오직 모임 생활의 부분을 구성할 것이다.

 

As we obey this instruction, given in the first instance to the disciples, “this do in remembrance of me” Lk.22.19, we must ever realise that we are responsible to keep His Word in all things. The danger is that we take the most clear doctrinal position in this matter, and destroy its significance by a hardness that bears no resemblance to the mind of Christ. It is worth mentioning that an assembly meets to participate in the Supper in “remembrance” of Him, not in ‘memory’ of Him. The Greek word for remembrance (anamnesis) denotes bringing to mind and in the context of remembering Him, signifies an active affectionate calling to mind of the Lord Jesus Christ. Therefore we have a realisation of His spiritual presence and what He is by virtue of His sacrificial work. It is not merely the memory of Him, but our minds being spiritually awakened to Him. This causes those who gather to be filled with worship as they consider the intrinsic glories of the Lord Jesus Christ.

Here, O our Lord, we see Thee face to face;

Here would we touch and handle things unseen;

(Horatius Bonar)

 

우리가 제자들에게 첫 번째 경우에 주어진 이를 행하여 나를 기념하라”( 22:19)는 이 교훈을 순종함에 따라 우리는 이 모든 일에 그분의 말씀을 지켜야 할 책임이 있다는 것을 항상 깨달아야 한다. 우리가 이 문제에서 가장 분명한 교리적 입장을 취한다, 그리고 그리스도의 마음을 닮지 않은 굳은 행동으로 그것의 중요성을 파괴하는 것의 위험이다. 그것은 언급할만한 가치가 있는 것은 모임이 그분에 관한 기억이 아니라, 그분에 관한기념으로 만찬에 참여하기 위해 모인다. 기념에 대한 헬라어 ajnavmnhsi"(아남네시스)는 주 예수 그리스도의 마음에 대한 적극적이고 애정어린 외침을 마음으로 그분을 기억하는 맥락에서 가져옴을 의미한다. 따라서 우리는 그분의 영적 임재의 실현이 있으며 그분께서 자신의 희생 사역에 관한 덕에 의한 어떠함이 있다. 그것은 단순히 그분에 관한 기억이 아니지만, 우리의 마음은 그분에 대한 영적인 일깨움을 가져온다. 이것은 그들이 주 예수 그리스도의 본질적인 영광을 상고함으로 예배로 가득하도록 모이는 사람들을 일으킨다.

여기에서, 오 우리의 주님을, 우리는 그분을 대면하여 뵙는다,

여기에서 우리는 눈에 보이지 않는 것을 만질 것이고 접촉할 것이다;

(Horatius Bonar)

 

Our Authority To Practise

Like the New Testament ordinance of Baptism (see chapter 2 of this book), the Lord’s Supper follows three distinct means of corroboration.

l       It was instituted by the Lord Jesus Christ Himself.

l       It was practised by local assemblies in the Acts of the Apostles.

l       It was endorsed and explained in the epistles.

 

실행에 대한 우리의 권위

침례에 관한 신약 의식과 마찬가지로 (이 책의 제2장 참조), 주님의 만찬은 확증적인 사실의 세 가지 별개의 의미가 따른다.

l      그것은 주 예수 그리스도 자신에 의해 제정되었다.

l      그것은 사도의 사도행전의 지역 모임들에 의한 실행이었다.

l      그것은 서신서에서 뒷받침하며 설명되었다.

 

The Institution

All the synoptic Gospels give details in varying degrees as to the institution of the Lord’s Supper, and Paul gives confirmation in 1 Cor.11.23-26. In each of the four accounts of the institution, all the main features are included. The accounts of Matthew and Mark have close affinities, and the accounts of both Luke and Paul are similar. However there are no contradictory statements! The main differences between the two groups are that Matthew and Mark omit the words, “This do in remembrance of me”, and include “shed for many”. In the synoptic Gospels the Lord refers to His reunion with the disciples in the fulfilled kingdom of God; whereas Paul in 1 Cor.11.26 refers to proclaiming the Lord’s death “until He come” in anticipation of a date earlier than the manifestation of the kingdom.

 

제정

모든 공관 복음서들은 주님의 만찬의 제정으로 다양한 각도로 정보를 제공하며 바울도 고전 11:23-26에서 확인을 제공한다. 제정에 관한 네 가지 설명의 각각에 모든 주요 기능이 포함되어 있다. 마태와 마가의 설명은 가까운 공감성을 가지고 있으며, 누가와 바울의 설명도 모두 유사하다. 그러나 모순되는 설명은 없다! 두 그룹 사이의 주요 차이점은 마태와 마가는 단어를 생략한다는 점이다, “이것을 행하여 나를 기념하라많은 사람을 위하여 흘리는 나의 피를 포함한다. 공관 복음서에서 주님은 하나님의 실현된 왕국에서 제자들과 함께 그분의 재결합을 언급하시며, 바울은 고전 11:26에서 왕국을 나타내는 것보다 먼저 그분께서 오실 때까지주님의 죽으심을 선포하는 것을 언급한다.

 

The planning of Deity is clearly seen from all the accounts that reveal the specific actions of the Lord Jesus Christ as being in full control of all the circumstances. These include the upper room being prepared and furnished, the time of the Passover being correct, the people who were present, and all the events being just as were required. He takes, He gives thanks, He breaks, He gives, and so He orchestrates the Supper and in doing so displays His authority. One clear perception in reading the accounts recorded in Scripture is that of simplicity. The actions of the Lord Jesus Christ are completely lacking in opportunity for ritualistic ceremony, and yet men have taken the simple actions and formed rituals and dogmas for which there are no Scriptural foundations. There is always the danger of formality when we engage in something that we have done over time, and we must ever guard against the possibility of making a ritualistic ceremony out of such a simple act. While we must never be informal in the presence of Deity, neither must we ever enter into severe, cold, carnal formality as we see in Christendom, either in language or actions.

 

하나님의 계획은 분명하게 모든 상황에 대한 모든 통제로서 주 예수 그리스도의 특정한 활동을 드러내는 모든 설명에서 볼 수 있다. 이것들은 틀림없이 유월절의 때가 준비되고 갖추어져 있는 다락방을 포함하며, 현재 있었던 사람들과 모든 행사들이 마찬가지로 필요했다. 그분께서 잡으시고, 감사를 드리시며, 떡을 떼시고 주신다, 그리고 이렇게 그분은 만찬을 제정하시고 그렇게 행하심에서 그분의 권위를 나타내신다. 성경에 기록된 설명을 읽음으로 한 가지 분명한 인식은 단순함의 그것이다. 주 예수 그리스도의 실행은 의식주의적 의식을 위한 기회가 완전히 부족하며, 여전히 사람들은 성경적인 기초가 없이 그것에 대한 단순한 행동과 의식 형성과 교리를 취했다. 우리는 우리가 시대를 넘어 어떤 것에 종사하는 경우 형식의 위험이 항상 있으며, 우리가 그러한 단순한 행동을 벗어나 의식적인 의식을 만드는 가능성을 항상 조심해야 한다. 동시에 우리는 결코 하나님의 존전에서 형식을 따지지 않아야 하며, 또한 말이나 행동이 아니라 우리가 기독교에서 보는 것처럼 인간적인 형식, 냉담함, 엄격함으로 우리는 항상 들어가지 않아야 한다.

 

In the instruction given by the Lord at the institution of the Supper, Lk.22.19, there is the authority to continue to remember Him throughout the Church age, and Paul confirms in the epistles that the commemoration will continue, “till He come,” 1 Cor.11.26. This remembrance has been preserved to us until this very day. We remember Him as we ponder His eternity, His Deity, His condescending stoop into perfect humanity, His unique life of sinless perfection, and His sin-atoning death, His triumph over sin, death, hell and the grave, and His present and future glory. While it is only part of the believer’s life, the remembrance of our Lord Jesus Christ is that which lifts our spirits to lofty appreciation of Himself. With Him in our midst, as He was at the beginning, we enjoy the communion of remembering Him.

Hush, O our hearts, as in the sacred Name

We bow in worship and the promise claim-

Where two or three are gathered there am I,

Unseen, yet present to faith’s opened eye.

(Eliza E. Hewitt)

 

만찬의 제정에 관한 주님의 교훈에서( 22:19) 교회 시대를 통한 그분을 기념하는 계속되는 권위가 있으며 바울은 그분께서 오실 때까지”(고전 11:26) 기념이 계속 될 것을 서신서에서 확인한다. 이 기념이 바로 현재까지 우리에게 보존되고 있다. 우리가 그분을 기억하며 깊이 묵상하는 것으로 그분의 영원하심, 그분의 신성, 그분의 온전한 인간으로 낮아지신 겸손함, 그분의 죄없으신 독특한 삶, 그리고 그분의 속죄의 죽음, 그분의 죄에 대한 승리, 죽음, 지옥과 무덤, 그리고 그분의 현재와 미래의 영광. 그것이 신자의 삶의 일부에 불과할지라도, 우리 주 예수 그리스도에 관한 기념은 우리의 영을 그분 자신에 관한 높은 감사로 끌어 올리는 것이다. 우리의 중심에 그분과 더불어 그분께서 시작하셨던 것에 따라 우리는 그분을 기념하는 친교를 즐길 수 있다.

잠잠하라, 오 우리의 마음, 신성한 이름에서와 같이

우리는 예배와 약속을 주장하심에 경배한다

두 세 사람이 모인 곳, 내가 거기에 있어

눈에 보이지 않는, 지금도 여전히 믿음의 열린 눈으로.

(엘리자 E. 휴이트)

 

The Practice

In the New Testament the Lord’s Supper is never observed apart from a permanent assembly testimony. It is never seen as a convenience for travellers, for it is the privilege of a permanently gathered assembly. It is perhaps the greatest expression of fellowship, and gives character to the other meetings and functions of a local assembly. We do not receive to the Lord’s Supper, but receive to the fellowship of an assembly. This assembly fellowship is expressed in all the functions of the local assembly, including the Lord’s Supper.

 

실행

신약 성경에서 주의 만찬은 지속적인 모임 증거에서 결코 분리하여 지켜질 수 없다. 그것이 지속적으로 모인 모임의 특권이기 때문에 여행자들을 위한 편리한 때를 결코 본 적이 없다. 이것은 아마 교제의 가장 큰 표현이며, 지역모임의 다른 집회와 기능에 특징을 제공한다. 우리가 주의 만찬에 받지 않지만 모임의 교제를 받는다. 이 모임 교제는 주의 만찬을 포함하여 지역모임의 모든 기능에 표현되고 있다.

 

Gathering for the purpose of “breaking bread” is recorded first in the Acts of the Apostles. Admittedly, to “break bread” in Bible times often referred to the eating of common meals. God once warned His prophet Jeremiah not to “tear (break bread) for the mourner”, Jer.16.7. The Lord Jesus Christ “took bread ... and brake it” with the disciples to whom He appeared on the road to Emmaus, Lk.24.30. The early Christians are said to have continued daily “breaking bread from house to house” eating “food with gladness and simplicity of heart” Acts 2.46. Paul once “took bread and ... broke it” and instructed his companions on board a ship to eat it for their “health”, Acts 27.34-35. In New Testament times, however, the phrase “to break bread” was also used to describe the partaking of the Lord’s Supper. The Lord Jesus Christ instituted the Supper after celebrating the Feast of the Passover with His disciples shortly before His death, “And as they were eating, Jesus took bread, and blessed it, and brake it, and gave it to the disciples, and said, Take, eat; this is My body. And he took the cup, and gave thanks, and gave it to them, saying, Drink ye all of it;” Matt.26.26-27. As the phrase “to break bread” refers both to common meals and the Lord’s Supper, we must examine the context of passages in order to understand which one is being discussed. For example, since in Acts 2.42 “breaking bread” is listed with other activities carried out by the church such as teaching, praying, and fellowshipping, we may conclude that “the breaking of bread” is a reference to the early believers partaking of the Lord’s Supper. The use of the article in this verse also leaves the impression that a particular event is under consideration, rather than a common meal. Some would argue that as no mention of the church is made at this point then the local assembly has not been formed, but the use of the article seems to point to a particular occasion relating to believers meeting together.

 

떡을 떼는목적을 위한 집회는 사도행전에서 처음 기록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인정하듯이, 성경 시대에 종종 떡을 떼기 위해 일반적인 식사를 언급했다. 하나님은 일찍이그들을 위로하려고 애곡하면서(떡을 떼며)”(16:7) 하지 말 것을 그의 선지자 예레미야에게 경고하셨다. 주 예수 그리스도는 엠마오 길에서 나타났던 그들과 함께 떡을 가지사 ... 떼어”( 24:30). 초기 그리스도인들은집에서 떡을 떼며 기쁨과 순전한 마음으로 음식을 먹고”(2:46)을 매일 계속했다고 말한다. 바울은떡을 가지사 ... 떼어와 그들의건강을 위해 먹을 것을 배 갑판에서 그의 동료들을 지시했다(27:34-35). 신약 시대에는 그러나, “떡을 떼려고라는 어구는 또한 주의 만찬의 참여를 설명하는 데 사용되었다. 주 예수 그리스도는 얼마 안 있을 그분의 죽음 이전에 제자들과 함께 유월절의 기념 예식을 거행한 후 만찬을 제정하셨다 그들이 먹을 때에 예수님께서 빵을 집으사 축복하시고 그것을 떼어 제자들에게 주시며 이르시되, 받아서 먹으라. 이것은 내 몸이니라, 하시고 또 잔을 집으사 감사를 드리시고 그들에게 주시며 이르시되, 너희는 다 그것을 마시라”(26:27-28). “떡을 떼기 위해라는 어구는 일반적인 식사와 주의 만찬에 모두의 의미로서, 우리는 한 가지 논의되고 있는 것을 이해하기 위하여 구절의 문맥을 검토해야 한다. 예를 들어, 사도행전 2:42 이후떡을 뗌은 이러한 가르침, 기도와 교제로 교회가 실행하는 다른 활동에 나열되고 있으며, 우리는떡을 떼며가 주의 만찬에 초기 신자들의 참여함에 대한 언급인 것을 결론 내릴 수 있다. 이 절에서 또한 기사의 사용은 오히려 일반적인 식사보다 특정한 사건이 고려되고 있다는 인상을 남긴다. 일부는 지역모임이 구성되지 않았던 이 시점이 교회에 대한 언급이 없다는 주장을 할 수 있지만, 기사의 사용은 함께 모인 신자들에 관한 특정한 사건을 가리키는 것으로 보인다.

 

Paul later reminded the Corinthians of the night in which The Lord Jesus first instituted this memorial, saying, “For I have received of the Lord that which also I delivered unto you: that the Lord Jesus the same night in which He was betrayed took bread; and when He had given thanks, He brake it and said, Take, eat; this is My body which is broken for you; this do in remembrance of Me” 1 Cor.11.23-24. Because part of this supper that Christians are commanded to keep involves the actual breaking of bread, the expression “to break bread” was used in reference to the Lord’s Supper in the early church. Thus the assembly gathers for the specific purpose of remembering Him in the breaking of bread.

On that same night, Lord Jesus,

In which Thou wast betrayed,

When without cause man’s hatred

Against Thee was displayed,

We hear Thy gracious accents-

This do; remember Me;

With joyful hearts responding

We would remember Thee.

(G.W.Fraser)

 

바울은 내가 너희에게 전한 것은 주께 받은 것이니 곧 주 예수께서 잡히시던 밤에 떡을 가지사 축사하시고 떼어 가라사대 이것은 너희를 위하는 내 몸이니 이것을 행하여 나를 기념하라 하시고”(고전 11:23-24)라고 말하며 주 예수님께서 이 기념을 처음 제정하셨던 그 밤에 관해 고린도인들에게 나중에 생각나게 했다. 이 만찬의 역할 때문에 그리스도인들은 실제 떡을 떼는 것을 포함하고 지키도록 명령했던 것이며 떡을 떼려고표현은 초대 교회에서 주의 만찬에 대해 언급하며 사용되었다. 따라서 모임은 떡을 뗌으로 그분을 기억하는 특정한 목적을 위해 모인다.

동일한 그 밤에, 주 예수님

당신이 배반을 당했던 것에서

인간의 이유 없이 증오할 때

당신을 향해 나타내었다,

우리는 당신의 은혜로운 말을 듣는다

이것을 행하여, 나를 기념하라;

즐거운 마음은 응답과 더불어

우리는 당신을 기념하리라.

(G.W. Fraser)

 

http://www.assemblytestimony.org/

posted by 징검 다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