브로디 티보도우
양과 목자, 양떼와 우리, 인도와 먹이주기. 이러한 주제는 문자 그대로의 이야기이자 은유로서 구약성경의 풍경을 가득 채우고 있습니다. 형에게 살해당한 양을 지키던 의로운 아벨부터 스가랴 13:7절의 매를 맞은 목자까지, 이러한 실제 인물과 사건을 영적 진리에 대한 의도된 비유와 결합할 때 하나님과 그분의 성품에 대한 우리의 이해는 더욱 풍성해집니다. 이 글에서는 양의 문에 대해 다루고 있으며, 목자에 대한 많은 언급은 앞으로의 글에서 더 발전시킬 예정입니다.
성경은 53장에 나오는 이사야의 적용에서처럼 양과 어린양들을 서로 다르게, 때로는 대조적인 방식으로 사용합니다. 거기서 죄인은 길을 잃은 양으로 묘사되지만, 주님 자신도 “도살장에 끌려가는 어린 양과 털 깎는 자 앞에 놓인 양”으로 묘사됩니다. 여기서 우리는 연약하고 도움이 필요한 양은 죄의 경향을 지닌 사람들의 적절한 그림이며, 온유한 어린 양은 그리스도의 성품과 희생적인 죽음을 아름답게 묘사한다는 것을 배웁니다.
마찬가지로 목자는 때때로 대조적인 모습으로 등장하기도 합니다. 이스라엘 민족은 목양이라는 맥락에서 형성되었으며, 특히 한 저명한 목자가 이 주제의 비유적 적용에 대한 이해를 돕습니다. 하나님은 다윗을 양우리에서 데려가 주님의 백성을 먹이셨고(시 78:70-71), 이는 민족의 지도자를 대표하는 이 개념의 은유적 사용을 입증합니다. 그런 다음 이스라엘 역사 전반에 걸쳐 신실한 지도자와 사기꾼 지도자 사이의 대조가 강조됩니다(참조: 겔 34장, 슥 11장). 이것이 이제 요한복음 10장의 목자 담론의 배경이 됩니다.
이 글은 개요와 본문의 뉘앙스를 설명하는 성경공부는 아니지만, 요한복음 10:1-18절의 전체적인 구조를 고려하는 것이 좋습니다. 어떤 사람들은 이것을 공관복음서 스타일로 하나의 연속된 또는 두 개의 개별적인 “비유”로 봅니다. 그러나 6절에서 “비유”로 번역된 단어가 처음 세 복음서에서 사용된 일반적인 용어와 다르기 때문에 이는 잘못된 오해입니다. 우리는 여전히 영적인 가르침을 밝히는 지상의 비유를 다루고 있지만, 이것은 단순히 비유에 불과하며 목양을 상징적인 방식으로 원하는 메시지를 전달하기 위한 수단으로 관찰합니다[1].
이것은 중요하지 않은 것처럼 보일 수 있지만 오류를 방지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기본적으로 주님은 하나의 비유를 사용하여 일관된 이미지와 적용을 제공하는 대신, 양과 목자의 일상적인 활동을 사용하여 그분의 성품과 목적에 대한 다양한 교훈을 가르치십니다. 이 점을 기억하면 해석의 매듭에 얽매이지 않게 됩니다. 2절의 목자 앞에 기사가 없는 것에 불필요한 의미를 부여하거나 3절의 목자가 우리 밖으로 인도하지만 9절에서는 왜 우리로 들어가는 문인지 조정하려고 노력할 필요가 없습니다. 이러한 것들을 염두에 두고, 이 담론의 청중이 소경을 모이는 곳에서 쫓아내고 주 예수님을 핍박함으로써 그들의 성품을 보여 주었다는 것을 기억하면서 이제 우리는 문을 향해 나아갈 준비가 되었습니다.
첫 다섯 구절에서 주님은 죄에 눈이 먼 바리새인들의 귀를 찌르시면서 그들의 가혹함을 꾸짖으시고 자신의 마음을 드러내시기 위해 자리를 마련하십니다. 우리란 목자들이 자신의 양떼를 다른 양떼와 함께 울타리에 맡기고 그 양떼를 지키는 일을 맡기는 곳으로 모두에게 친숙한 장소입니다. 문지기는 양을 보호하고 양치기들이 돌아왔을 때 각자가 자신의 양떼에 접근할 수 있도록 했습니다.
따라서 주님은 이 비유를 실제로 적용하지 않으셨지만, 유대인 지도자들은 우리에 접근할 권리가 없고 양들에게 인정받지 못하는 침입자임을 암시하셨습니다. 그러나 그분은 목자로서 문지기에게 접근 권한을 주시고 자신의 양들에게 인정받으시며 그들을 인도하십니다. 경륜적으로 볼 때 우리란 이스라엘이라고 적용할 수 있습니다. 그분의 음성에 응답하는 민족 내의 사람들은 그분의 양이며 유대교의 경계에서 인도됩니다. 실제로 선한 목자에 대한 고찰에서 이 “인도하심”에 대해 더 자세히 설명할 것이지만, 여기서 중요한 것은 바리새인들이 도둑과 강도로 책망을 받고 있다는 것입니다.
7-10절은 다시 한 번 접힌 부분을 제시하지만 약간 다른 맥락에서 설명합니다. 이 울타리는 낮에는 양을 목초지로 이끌고 밤에는 벽으로 둘러싸인 보호를 구하는 사람들이 사용하는 산비탈에 있을 수 있습니다. 우리에는 양떼가 한 마리만 들어갈 수 있으며, 목자는 양떼를 지키는 일을 짐꾼에게 맡기지 않고 밤새도록 양떼와 함께 지내며 심지어 양떼의 안전을 위해 입구에서 잠을 자기도 합니다. 이처럼 목자는 문이기도 했는데, 양이나 적이 문지방을 넘지 않고는 목자를 통과할 수 없었습니다.[2]
주님은 내가 문이라고 선언함으로써 목숨을 바쳐 양을 지키려는 자와 도둑질하고 멸망시키려는 자의 대비를 강조하십니다. 그러면 영적인 가르침이 분명해집니다. 믿음으로 주님의 음성에 응답하는 각 사람은 주님에 의해 안전의 울타리에 들어가고, 죄로 인해 마땅히 받아야 할 멸망에서 구출될 뿐만 아니라 그 순간부터 누릴 구원의 상태에 들어가 구원을 받습니다. 그 안으로 들어간 후에는 목자께서 친히 “문”으로서 입구를 지키시며 우리를 완벽하게 보호해 주신다는 것을 기억해야 합니다.
어떤 사람들은 “들어가고 나오며”라는 구절에 어려움을 겪습니다. 이 구절은 혼이 안전을 위해 들어왔다가 어떤 이유로 인해 그 문 밖으로 나올 수 있다는 암시와는 달리 구약에서도 흔히 고정된 표현이었으며 “안전과 자유를 암시합니다. 이 이중 표현은 구약성경에서 일상 생활의 자유로운 활동을 묘사할 때 자주 사용됩니다.”[3](신 28:6, 렘 37:4). 여기서 영원한 안전은 고려 대상이 아닙니다. 죄와 율법에서 해방된 우리가 그리스도의 것을 누리는 것이 강조되며, 그분은 우리가 안전하게 누릴 수 있도록 푸른 초장을 마련해 주십니다.
모든 죄인을 향한 구원의 부르심이 나옵니다: “내가 문이니 누구든지 나를 통해 들어가면 구원을 받고 또 들어가고 나오며 꼴을 얻으리라”(요 10:9). 그리고 신자들을 향한 권고는? 그리스도께서 여러분을 자유케 하신 자유 안에서 문이 주는 안전을 누리며 하나님의 말씀의 푸른 초장에서 정기적으로 그리고 자주 먹이십시오.
[1] D.A. 카슨, 요한복음, PNTC (미시간주 그랜드 래피즈: 윌리엄 B. 에드만스, 1991), 380.
[2] G. 캠벨 모건, 요한복음 (웨스트우드, 뉴저지: 리벨, nd), 177.
[3] W.E. 바인, W.E. 바인의 저작집 (내슈빌, 테네시: 토마스 넬슨, 1996)
'말씀 안으로 > 요한복음에서 말해진 I AM'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요한복음에서 표현된 I AM - 나는 부활이요 생명이다(2) (0) | 2024.05.07 |
---|---|
요한복음에서 표현된 I AM - 나는 부활이요 생명이다(1) (0) | 2024.05.07 |
요한복음에서 말해진 I AM - 나는 선한 목자이다(2) (0) | 2024.05.04 |
요한복음에서 말해진 I AM - 나는 선한 목자이다(1) (0) | 2024.05.04 |
요한복음에서 말해진 I AM - 세상의 빛(2) (0) | 2024.05.02 |
요한복음에서 말해진 I AM - 세상의 빛(1) (0) | 2024.05.02 |
요한복음에서 말해진 I AM - 생명의 빵 (0) | 2024.05.02 |
요한복음에서 말해진 I AM (0) | 2024.05.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