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apter 10: The Local Church And Its Conduct 토마스 H. 매튜스 | |
It seems appropriate to commence a chapter on behaviour in the assembly with a reference to the first such assembly in Acts chapter 2. By doing so readers will be immediately faced with a feature all too little in evidence in modern times, but evidently considered basic in the balmy days of the Acts of the Apostles. That feature is the fear of God and the control that it exercised on each member.
|
사도행전 2장에서 최초의 그와 같은 모임에 대한 언급과 더불어 모임에서 행동으로 장을 시작하는 것이 적절할 것으로 보인다. 그렇게 행하는 독자들에 의해 현시대에 뚜렷하지 않은 모든 특징에 즉시 직면하게 될 것이지만 분명히 사도들의 사도행전에 향기로운 날들에서 기본적으로 고려되었다. 그 특징은 하나님을 경외하는 것과 각 지체들에 실행하는 것을 관리하고 있다.
|
The First Assembly - Acts chapter 2Scarcely had the basic practices of the first assembly in |
처음 모임- 사도행전 2장 예루살렘에서 처음 모임에 관해 거의 기초적인 실행이 없었던 것은 우리가 “모든 혼 위에 두려움이 임하고”(43절)를 읽을 때까지 언급되고 있다. 그들의 활동들에 대한 더 자세한 목록은 44-47절에 뒤따른다. 그것은 경건한 두려움이 매우 분명했던 것에 대해 두드러지게 주어지는 하나님의 성령에 관한 결정적인 의도인 것으로 보인다. 영어 표준역은 그것을 표현한다: “두려움이 모든 혼에 왔다.” 사람은 이 중대한 때에 어떤 권고라도 쓸데없이 살피고 이러한 새 신자들은 그들이 함께 만남으로 이제 하나님을 경외함으로 조심스럽게 움직여야 한다. 이 거룩한 경외함은 성령의 존재와 능력에 대한 자발적인 반응이었다. 지금 그분에 의해 내주하는 사람들은 어떤 다른 방식으로 행동하려는 경향이 없었다.
|
Even in New Testament times it would seem that there was a drift from these high standards of reverence, but God’s standard for those who belong to His assembly has never changed. The writer recalls the late Mr. Thomas McKelvey of
|
심지어 신약 시대에 경외하는 마음의 이러한 높은 수준에서 움직였던 것을 볼 수 있지만, 그분의 모임에 속한 사람들에 대한 하나님의 기준은 결코 변경된 적이 없었다. 필자는 최근에 작고한 북 아일랜드의 토마스 맥켈비(1896-1983)를 상기하며 주의만찬의 상징으로 참여했던 그가 처음의 경우를 자세히 말한다. 그는 떨리는 손으로 잔을 받고 말했다. 즉 그는 그와 같은 하나님 경외하는 태도에서 멀리 이동하지 않았으며 자신의 오랜 생애 동안 떡을 떼는 감사에 참여하는 그에게 듣는 기회를 가졌던 사람들에게 분명했다. 그는 “우리의 가슴속에서 일어나는 하나님에 관한 겸허한 경외함”을 말할 것이다. 모임에서 그분의 백성들 사이에 하나님의 임재는 이 거룩한 경외함을 환기시키며, 그것의 지속은 모두에 의해 그러한 교제가 높은 수준의 되는 분위기를 유지한다.
|
A solemn occasion arose in the early days of that first assembly when Ananias and Sapphira agreed to attempt to deceive the apostles into thinking that the amount handed in for the sale of their property was the full amount received for it, Acts chapter 5. What they failed to understand was that they were not only, and not chiefly, dealing with the apostles, but with the Holy Spirit. Their deceitfulness was thus seen to be sinful in the extreme. The death of both led to an intensification of the fear already referred to and the observant reader will note that it is now described as “great fear” vv.5,11. No lightness could exist in that assembly. It was good to be there for God was there, but each and all must have learned to tread carefully lest they grieve the Spirit of God.
|
엄숙한 특별한 일이 초기 시대 처음 모임에서 아나니아와 삽비라가 그들의 재산을 팔고서 건네어지는 총액은 그것을 받은 전체 금액이라고 사도들을 속이려는 생각을 합의하고 시도했을 때 일어났다(사도행전 5장). 그들이 이해하지 못했던 어떤 것은 그들이 주로 사도들과 함께 다루지 않았을 뿐만 아니라 성령과 더불어 다루는 것이었다. 그것들의 유혹은 따라서 극단적인 죄가 되는 것으로 보일 수 있었다. 두려움의 증대로 이끄는 두 사람의 죽음은 이미 언급했으며 주의 깊은 독자가 주목할 것은 “큰 두려움”으로 지금 설명되고 있다(5,11절). 어떤 경솔함도 그 모임에 존재할 수 없었다. 그것은 하나님을 위해 거기에 있었고 거기에 있는 것이 좋았지만, 각각 그리고 모두 그들이 하나님의 영을 슬프게 하지 않도록 신중하게 걷는 것을 배워야 했다.
|
The Spirit still dwells in the assembly of His people, 1 Cor.3.16, constituting it a solemn responsibility to pertain thereto. With what weight to the soul come the words: “If any man defile the
|
성령은 여전히 그분의 백성들의 모임에 거주하시며(고전
|
Behaviour In The Assembly At
Behaviour in the Corinthian assembly was at grievous variance with the mind of God for His people. Without doubt the early reference to the Divine calling “unto the fellowship of His Son Jesus Christ our Lord” 1 Cor.1.9, was intended to promote unity. Where there is true acknowledgment of the Lordship of Christ unity will not be easily compromised. Where there is true enjoyment of “the fellowship of His Son”, all who share in it will have a close affinity with one another. The carnal choice of servants as party leaders in |
고린도 모임에 행동 고린도 모임에서 행동은 그분의 백성에 대한 하나님의 마음과 슬픈 불일치에 있었다. 의심의 여지없이 초기에 언급하는 하나님의 부르심에 대해 “그의 아들 예수 그리스도 우리 주로 더불어 교제케 하시는”(고전
|
The solemn import of chapter 5 and its bearing on the behaviour of all in assembly fellowship is something which none can ignore. When instruction is given in v.8, to “keep the feast, not with old leaven, neither with the leaven of malice and wickedness; but with the unleavened bread of sincerity and truth” the reference is to the Old Testament “Feast of Unleavened Bread” Lev.23.6. This feast followed immediately on “The Passover” and is suggestive of that change which redemption brings. Malice and wickedness are now to be considered things of the past and sincerity and truth are to mark the character of the believer from salvation’s day until the end of his course down here. The deep solemnity of all this is seen in the last part of the chapter where certain malicious and wicked sins call for exclusion from the assembly. All who have been present when such judgment is carried out know these to be amongst the most distressing moments in assembly life.
|
5장의 엄숙함을 가져오는 것과 모임의 교제에 모든 행동에 미치는 그것은 아무도 무시할 수 없는 무언가이다. 8절에서 가르침이 주어졌을 때에 대해 “우리가 명절을 지키되 묵은 누룩도 말고 괴악하고 악독한 누룩도 말고 오직 순전함과 진실함의 누룩 없는 떡으로 하자”의 언급은 구약성경 레
|
In chapter 6, it is seen that brethren had no scruples about taking their brethren to law. Surely they must have felt rebuked by the apostle’s words in v.6, “brother goeth to law with brother, and that before the unbelievers.” Once again it is evident that many there were not in the enjoyment of “the fellowship of His Son”. This is also evident in their indifference to the conscience of the weak brother in chapter 8. He seemed to be despised as not worth worrying about, neither him nor his scruples, but God’s Word says that he is one “for whom Christ died” v.11. These words are further strengthened by the charge, “but when ye sin so against the brethren and wound their weak conscience, ye sin against Christ” v.12. Paul is set to bring them to the high level of v.13 “Wherefore, if meat make my brother to offend, I will eat no flesh while the world standeth, lest I make my brother to offend.”
|
6장에서 그것은 형제들이 법으로 그들의 형제들을 데려가는 것에 대해 아무런 양심의 가책도 없었다는 것을 볼 수 있다. 분명히 그들은 6절에서 사도의 말씀으로 책망을 느껴야 했다 “형제가 형제로 더불어 송사할 뿐더러 믿지 아니하는 자들 앞에서 하느냐.” 다시 한번 많은 사람들이 “그분의 아들과의 교제”의 즐거움이 없었다는 것이 분명하다. 이것은 또한 8장에서 약한 형제의 양심에 대한 그들의 무관심에서도 분명하다. 그는 그에게나 또한 자신의 양심의 가책도 없이 걱정할만한 가치가 없기 때문에 경멸하는 것처럼 보였지만, 하나님의 말씀은 그는 “그를 위해 그리스도께서 죽으셨느니라”(11절)라고 말한다. 이러한 말들은 부담에 의해 한층 더 강화된다 “이같이 너희가 형제에게 죄를 지어 그 약한 양심을 상하게 하는 것이 곧 그리스도에게 죄를 짓는 것이니라”(12절). 바울은 13절의 높은 수준을 그들에게 가져왔다 “그러므로 만일 식물이 내 형제로 실족케 하면 나는 영원히 고기를 먹지 아니하여 내 형제를 실족치 않게 하리라.”
|
Serious disunity manifested itself in yet another form and this, at the Breaking of Bread. How degrading! That holy gathering had been desecrated and treated as though it were a common meal, with the aggravation that some were hungry through lack and others were drunken through excess. Surely as the reading took place of how that the supper had been instituted “on the same night in which He was betrayed” 11.23, a wave of humiliation and shame must have come over the entire company. Their behaviour was totally at variance with the atmosphere and solemnity becoming the remembrance of the Lord’s death. “When I survey the wondrous cross On which the Prince of Glory died, My richest gain I count but loss, And pour contempt on all my pride.” (Isaac Watts)
|
심각한 불일치는 떡을 뗌에서, 아직 또 다른 형태와 이것이 그 자체에서 명백하게 되었다. 얼마나 품위를 떨어트리는가! 그 거룩한 집회는 일반적인 식사인 것처럼 더럽혀지고 취급되었으며 악화시키는 것과 더불어 어떤 이들은 부족함으로 배가 고팠고 다른 사람들은 과다함으로 술에 취해 있었다. 만찬이 제정되었던 방법이 세워졌던 것을 확실히 읽는 것처럼 “곧 주 예수님께서 배반당하신 바로 그 밤에”( “나는 놀라운 십자가를 바라볼 때 영광의 왕 죽으심에, 내가 세는 나의 부유한 이득 그러나 부족해, 내 모든 자존심에 경멸을 쏟아라.” (아이삭 왓츠)
|
1 Corinthians chapter 13, the great chapter on love, had a very real application to local conditions in 1 William Rodgers “Bible Notes and Expositions” 1976: Privately Published.
|
탁월한 사랑의 장 고린도전서 13장은 고린도 지역의 조건에 매우 실질적인 적용을 했다. 윌리엄 로저스는 여기에 인용의 가치가 있다: 13장은 “12장의 기구들에 윤활유를 공급할 뿐만 아니라, 오히려 그것은 14장에 행동에서 오며, 모든 악들에 진실된 해독제를 제공하며 그것으로 고린도 교회는 그 구절로 황폐해졌다 “사랑은 시기하지 않으며”( 1 윌리엄 로저스의 “성경 노트와 주해” 개인적 출판: 1976.
|
An overview of chapters 11-14 brings many important matters to light with regard to the conduct God expects of His people as they meet in public. The early part of chapter 11 presents the obligation on Christian women to use the head covering which is the badge of subjection, and also to wear their hair long, aware that as such it is in full accord with the symbolism of the additional covering. The passage shows that God’s intention is that the distinction between the sexes should be evident in the appearance of both and that God-fearing women will subscribe to this in their manner of dress both in meetings and in every day life as a whole.
|
11-14장의 개요는 그들의 공적으로 만나는 것처럼 하나님께서 그분의 백성에게 기대하시는 행동에 관계하는 빛으로 많은 중요한 문제들을 가져온다. 11장의 초반에 머리를 덮기 위해 사용하는 그리스도인 여성들의 의무를 제시하는 것은 복종을 상징하는 것이며, 또한 그들의 긴 머리에 대한 그것은 이처럼 추가적인 덮음의 상징을 가진 그것이 완전한 일치에 있는 것 같이 인식한다. 하나님의 목적을 보여주고 있는 그 구절은 남녀의 차이는 모두의 모습에 분명해야 하며 하나님을 두려워하는 여성은 집회에서와 전체적인 매일의 삶에서 모두가 옷을 입는 그들의 방법에서 이것을 인정할 것이다.
|
Reference has already been made to the latter part of chapter 11 when dealing with the grievous disunity that marred the Corinthian assembly. The use of the title “Lord” with reference to the Lord Jesus in this section underlines His authority. To respect His Lordship when met together to remember Him will surely cause each one to move and act with great care.
|
이미 11장의 후반 부분에 있었던 언급은 고린도 모임을 훼손했던 슬픈 불일치를 가지고 다룰 때 있었다. 이 항목에서 주 예수님에 대한 언급과 더불어 “주님”의 제목을 사용함은 그분의 권위를 강조한다. 그분을 기억하기 위해 함께 모였을 때 그분의 주 되심을 존중하는 것은 분명히 각자가 신중하게 살피며 움직이고 행동하는 원인이 될 것이다.
|
In chapter 12 the apostle uses the human body as an object lesson of the functioning of the various members of an assembly. The supreme lesson is one of unity, which as already seen, applied in a special way to the Corinthian assembly. Inasmuch as the body is not one member but many, there must be co-operation, v.14. To complain of not having a position for which one is not fitted is unbecoming. That is what Paul is teaching when he pictures the foot as unable to say: “Because I am not the hand, I am not of the body” v.15. Just as there would be a superabundance of sight, but nothing else “if the whole body were an eye” v.17, so it is wrong for one person to take over all the functions of an assembly. Those whose function or gift gives them less prominence must not be considered of little importance: “the eye cannot say unto the hand, I have no need of thee” v.21. The lofty ideal is “that there should be no schism in the body; but that the members should have the same care one for another” v.25.
|
제12장에서 사도는 모임의 다양한 구성원들의 기능에 관해 구체적인 실물교훈처럼 인간의 몸을 사용한다. 궁극적인 교훈은 이미 보였던 것처럼 고린도 모임에 특별한 방법으로 적용했던 일치의 하나이다. 몸으로서 고려하면 한 사람의 구성원이 아니지만 많은 구성원의 협력이 있어야 한다(14절). 사람이 아무 위치를 가지지 않고 불평하는 것은 어울리지 않는 것이다. 즉 바울이 가르치는 것은 말하기 불가능한 발을 묘사하는 경우이다: “나는 손이 아니니 몸에 속하지 아니한다”(15절). 단지 바라보는 것이 과다해지는 것이지만 다른 아무것도 없이 “만일 온 몸이 눈이면”(17절), 그래서 한 사람에게 모임의 모든 기능을 수행하는 것은 잘못된 것이다. 그것들의 전체 기능이나 그들에게 더 적게 부각되게 주어지는 은사는 약간의 중요성도 고려하지 않아야 한다: “눈이 손에게 이르기를, 나는 네가 필요 없다, 하지 못하며”(21절). 완전무결한 고상함은 “몸 가운데서 분쟁이 없고 오직 여러 지체가 서로 같이하여 돌아보게 하셨으니”(25절)이다.
|
The prominence of the thought of “edification” in chapter 14 sets the standard for assembly meetings. God’s intention is that the members may learn and be edified each time they come together. That would come about principally, but by no means exclusively, through the use of the gift of prophecy. It is evident that in the present day the opening up of the Scriptures corresponds to the early gift of prophecy.
|
14장에서 “덕 세움”에 관한 생각의 두드러짐은 모임 집회들에 대한 표준을 세운다. 하나님의 의도는 지체들이 배울 수 있으며, 그들이 함께 올 때마다 각자가 덕을 세울 수 있는 것이다. 그것은 대체적으로 그러나 예언의 은사의 사용을 통해, 의미 없이 배타적이지 않음에 의해 일어날 것이다. 그것은 현시대에서 성경에 관해 마음을 여는 것은 예언의 초기 은사에 대해 부합하는 것이 분명하다.
|
All of this spiritual edification should come in an atmosphere of mutual consideration and peace vv.20-33. Confusion or moments of embarrassment ought not to occur. The writer recalls the feeling of revulsion with which he witnessed a brother hastily withdrawing from the “Breaking of Bread” to attend a call on his mobile phone. Such happenings must be scrupulously avoided.
|
이 영적인 덕 세움에 관한 모두는 상호 배려와 화평의 분위기에서 와야 한다(20-33절). 혼란이나 당황하는 순간이 일어나지 않도록 해야 한다. 필자는 그가 “떡을 뗌”에서 참석하려는 형제를 자신의 휴대폰으로 불러 서둘러 물러나게 하는 것을 목격했던 것과 함께 극도의 불쾌감의 느낌을 회상한다. 그와 같은 일은 양심적으로 피해야 한다.
|
The chapter just now under consideration offers much instruction and help in the matter of taking public part in the assembly. “Let all things be done unto edifying” v.26, indicates the motive behind all public participation. “Let all things be done decently and in order” v.40, reminds one of the Old Testament Tabernacle, with its orderly ministry and careful transport. The casual or careless approach to spiritual things can only be grieving to the Lord and detrimental to the maintenance of a heavenly atmosphere in the assembly. Practical and plain ministry is often necessary, but if it is given in an unspiritual way with a determination to humiliate someone, it is not likely to accomplish much, if indeed anything, for God’s glory or the believers’ blessing. The “all things” of v.26 extends to the announcing of hymns and leading in prayer. The Lord doubtless leads and there is a close connection between true spirituality and His direction. Common sense will also be consistent with the Lord’s leading. A brother will make sure that the tune of a hymn is known before requesting it to be sung. Many believers have duties that must be attended to after the Breaking of Bread. If it is almost the usual time for finishing, it is unsuitable to announce a long hymn, which only creates tension for those with a time schedule. The same may be said for a lengthy prayer on such occasions. Conciseness in public prayer is not a sign of lack of spirituality, just as a lengthy prayer is not a guarantee of personal godliness. The latter may indicate lack of consideration.
|
바로 지금 고려중인 장은 모임에서 공적인 부분에 참여하는 문제에 많은 교훈과 도움을 제공한다. “모든 것을 덕을 세우기 위하여 하라”(26절)는 모든 공적인 참여의 동기를 가리킨다. “모든 것을 적당하게 하고 질서대로 하라”(40절)는 그것의 질서 있는 섬김과 조심성 있는 열중과 더불어 구약의 성막 중에 하나를 생각나게 한다. 영적인 것들에 무관심하거나 경솔한 방법은 오직 주님의 마음을 아프게 하며 모임에서 하늘의 분위기를 유지하는데 해롭게 할 수 있다. 실제적이고 분명한 섬김은 종종 필요하지만, 그것은 누군가 자존심을 상하게 하는 결정을 가진 방법이 비영적인 방법으로 주어진다면, 그것이 실제로 하나님의 영광이나 신자들의 축복에 대한 어떤 것이라면 많은 것을 성취할 가능성이 없다. 26절의 “모든 것”은 찬송가를 선택하고 기도에서 인도함에 이른다. 의심할 여지없는 주님의 인도와 거기에는 진정한 영성과 그분의 명령 사이에 밀접한 관계가 있다. 일반적인 느낌은 또한 주님의 인도하심과 더불어 일관되어야 할 것이다. 형제가 찬송가를 부르도록 요청하기 전에 찬송가의 곡이 잘 알려져 있는지 확인해야 할 것이다. 많은 신자들은 떡을 뗀 이후에 참석해야 하는 의무를 가지고 있다. 거의 마무리 하기 위한 일반적인 시간인 경우, 그것은 긴 찬송가를 부르기에 적합하지 않으며 단지 시간계획을 가진 사람들에게 긴장감을 만든다. 그와 같은 경우에 긴 기도에 대해서도 동일하다고 말할 수 있다. 공적 기도의 간결함은 영성의 부족함의 표시가 아니며, 마찬가지로 긴 기도가 개인의 경건함을 보장하는 것도 아니다. 후자는 배려의 부족함을 가리킬 수 있다.
|
Although the women are to keep silence in the churches v.34, it is evident that they will be there and that with a desire to learn (see Newberry margin v.35). Any Christian woman who thinks that the deeper study of the Word of God is only for men, will surely deny herself much spiritual nourishment, and that in turn must diminish her spiritual input both in the home and in her contact with other believers generally.
|
비록 여성들은 교회들에서 침묵을 유지하지만(34절), 그것은 그들이 거기에 있을 것과 배우고자 하는 바램과 더불어 분명하다(뉴베리 35절 난하주를 참조하라). 하나님의 말씀의 더 깊은 연구를 오직 남자들에게 있다고 생각하는 모든 그리스도인 여성은 틀림없이 자신에게 많은 영적 음식을 거부할 것이며, 결과적으로 가정에서와 다른 신자들과 그녀의 일반적인 교제에서 모두 그녀의 영적 입력을 감소해야 한다.
|
'말씀 안으로 > 지역교회의 영광'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제11장: 지역교회와 청결(1) (0) | 2013.11.28 |
---|---|
제11장: 지역교회와 청결(2) (0) | 2013.11.28 |
제11장: 지역교회와 청결(3) (0) | 2013.11.28 |
제10장 지역교회와 그 행실(2) (0) | 2013.11.21 |
제9장 지역교회와 그 돌봄(3) (0) | 2013.09.26 |
제9장 지역교회와 그 돌봄(2) (0) | 2013.09.26 |
제9장 지역교회와 그 돌봄(1) (0) | 2013.09.26 |
제8장 지역 교회와 연보(3) (0) | 2013.09.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