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로그 이미지
징검 다리
그분은 모든 사람이 구원을 받고 진리를 아는 데 이르기를 원하시느니라(딤전 2:4) __________ 신앙상담은 asan1953@naver.com

calendar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Recent Post

theWord Bible Software

Category

2018. 1. 5. 16:48 말씀 안으로

What is Truth?(5): Truth in the Pastoral Epistles
진리가 무엇이냐?(5): 목회서신의 진리

마크 스윗남

Titus 1:1-4

To say that the Cretans had a bad reputation is an understatement. Throughout the ancient world, they were a byword for brutish and bestial behavior. The most famous indictment of the Cretans came from the pen of one of Cretan philosopher Epimenedes. “The Cretians are alway liars, evil beasts, slow bellies” (Titus 1:12KJV).

 

디도서 1:1-4

그레데인들이 평판이 나빴다고 말하는 것은 절제된 표현이다고대 세계 도처에서 그들은 야만적인 행동을 취하고 있었다그레데의 가장 유명한 고발은 그레데 에피메네데스 철학자 중 한 사람의 글에서 나왔다. “크레테 사람들은 항상 거짓말쟁이요 악한 짐승이요 게으른 탐식가라”( 1:12 KJV).

 

The statement has become known as the Epimenedes paradox: If a liar tells you he’s a liar, do you believe him? The Cretans’ reputation for falsehood was proverbial; the Greeks had a verb, kretizein, meaning “to lie.” These accusations of untruthfulness did not refer so much to a general mendacity. Rather, they had a particular focus on Cretan religion.

 

그 진술은 에피메네데스 역설로 알려졌다: 거짓말쟁이가 당신에게 거짓말이라고 말하면, 그를 믿는가그레데의 거짓말에 대한 평판은 속담이었다헬라인들은 "거짓말하는 것"을 의미하는 동사, kretizein 있었다. 이러한 거짓성에 대한 비난은 일반적인 거짓말하는 버릇을 그렇게 언급하지 않았다. 오히려 그들은 그레데의 종교에 초점을 맞추고 있었다.

 

Like other Greeks, the Cretans worshiped Zeus. But the Cretan Zeus had a different mythology from the Zeus worshiped by other Greeks. He was a man who became a god, reigned as the chief deity, died, and was buried on Crete. It was this religious deviance, more than anything else, that marked out the Cretans as inveterate liars. Thus, when Paul describes them as “liars, evil beasts, slow bellies” he identifies them as corrupt in their worship of God, savage in their relationships with others, and depraved in their lack of self-control; three categories that occur repeatedly, in both a positive and a negative sense, throughout the epistle.

 

다른 헬라인들처럼 그레데인들은 제우스를 숭배했다그러나 그레데의 제우스는 다른 헬라인들이 숭배한 제우스와는 다른 신화를 가지고 있었다. 그는 신이 된 사람이었으며, 주요 신으로 통치하고, 죽어서 그레데에 묻혔다. 이 종교적인 일탈은 다른 무엇보다도 그레데  사람들을 기만적인 거짓말쟁이로 여겼다. 따라서 바울이 그들을 거짓말쟁이요 악한 짐승이요 게으른 탐식가로 묘사했을 때, 그는 하나님을 경배하는데 부패한 자로 간주하고 다른 사람들과의 관계에서 야만적인 태도를 취하고 자제력이 부족한자로 타락 시켰다; 세 가지 범주로 서신을 통해 긍정적이고 부정적인 의미로 반복해서 나타난다.

 

It is no surprise that the Cretans were marked by untruthfulness. The god that they worshiped was a liar. The myth of the Cretan Zeus was a litany of deception and debauchery. The Cretans had demonstrated the truth of Psalm 115:8, people become like their gods. The acolytes of a deceiving, debauching, depraved deity had reproduced the character of the god that they worshiped.

 

그레데인들이 진실하지 않은 것은 놀라운 일이 아니다. 그들이 숭배한 신은 거짓말쟁이였다그레데의 제우스 신화는 기만과 방탕의 장황한 이야기였다. 그레데 사람들은 시편 115:8의 진리를 실제로 보여 주었고 사람들이 그들의 신처럼 되었다. 속이고, 방탕하고, 타락한 신의 시종들은 그들이 숭배한 신의 특성을 재현했다.

 

This is the challenge that Titus faced, and it is in this context that Paul wrote the epistle to prepare him for this challenge. The context gives particular emphasis to the way in which Paul presents God in the opening verses of the epistle. Grand and glorious at any time, the presentation of a “God Who cannot lie” shines with an extraordinary radiance against the murky truthlessness of Cretan society, as it does against the relativistic confusion of our own “post-truth” society. The truthfulness and trustworthiness of God are further emphasized by Paul’s reference to God’s eternal promise. It has rightly been said that God’s purposes are His promises, but the use of the verb “promise” reinforces the point that God’s words are utterly reliable – they must be, they can only be truth.

 

이것이 바로 디도가 직면한 도전이며, 바울이 이 도전에 대비하기 위해 서신을 썼다는 맥락에 있다. 문맥은 바울이 서신의 첫 구절에서 하나님을 제시하는 방식을 특별히 강조한다. 언제든지 장대하고 영광스러운 "거짓말 할 수 없는 하나님"을 나타내는 것은 그레데 사회의 어두운 진실성에 비할 때 놀라운 광채로 빛난다, 그것은 왜곡된 진리사회가 우리 자신의 상대적인 혼란에 반하기 때문이다. 하나님의 진실함과 신뢰성은 바울이 하나님의 영원한 약속을 언급함으로써 더욱 강조된다. 하나님의 목적은 그분의 약속이란 것을 정확하게 말씀하셨지만, "약속"이라는 동사를 사용하는 것은 하나님의 말씀이 완전히 신뢰할 수 있다는 점을 강조한다 - 그것들은 오직 진실할 수밖에 없다.

 

Paul presents himself to Titus as the servant of this God. It is highly significant that this is the only occasion on which Paul refers to himself as “the servant of God.” In so doing, he identifies himself with the “un-lie-able God” and his message with the unalterable eternal promise made by this God. In addition, he locates himself in the history of revelation. In the OT, the term “servant of God” is used only of Moses (1Chron 6:49; 2Chron 24:9; Neh 10:29; Dan 9:11). On 19 occasions (17 in the OT, and twice in Revelation), God speaks of the prophets as “my servants.” Thus, the term “servant of God” is inextricably linked with divine revelation, and Paul’s unique use of it in the opening sentence of this epistle is an indication to us that revelation is the central subject of the opening paragraph (vv1-4).

 

바울은 디도에게 하나님의 종으로 자신을 나타낸다. 이것이 바울은 자신을 "하나님의 종"이라고 부르고 있는 유일한 경우임을 매우 중요하게 생각한다. 그렇게 함으로써, 그는 "거짓말 할 수 없는 하나님"과 그분의 메시지를 변경할 수 없는 이 하나님의 영원한 약속으로 확인한다. 또한 그는 계시의 역사에서 자신을 찾는다. 구약에서 "하나님의 종"이라는 용어는 모세에게만 사용되었다(대상 6:49; 대하 24:9; 10:29; 9:11). 19 (구약에서 17, 요한계시록에서 두 번) 하나님은 선지자들을 "나의 종"이라고 말씀하신다. 따라서 "하나님의 종"이라는 용어는 신적인 계시와 불가분의 관계가 있으며, 바울이 이 서신의 첫 문장에서 그것을 독특하게 사용하는 것은 계시가 첫 단락의 중심 주제라는 것을 가리킨다 (1-4).

 

A grasp of this will help us to answer the hoary question about the meaning of “the faith of God’s elect.” It is possible that “the faith” in this expression could refer to the faith of individual believers, and thus describe the goal of Paul’s apostleship (though the interested reader should see William Kelly’s comments on the verse for a characteristically cogent and forceful argument against the reading of the verse adopted in most modern translations). However, it is more likely, given both the immediate context and the distinctive focus of the pastoral epistles, that Paul here uses the term “the faith” objectively, as a description to the body of truth, “the faith that was once for all delivered to the saints” (Jude 3, KJV). Thus, he is making an important claim about his apostleship. It stands foursquare on a “full knowledge of the truth” (ISV) and aligns with the “faith of God’s elect” (Titus 1:1KJV).  Paul’s apostleship, then, is not a departure from or a distortion of the truth; he is the faithful servant of “the God Who cannot lie.”

 

이것의 이해는 우리가 "하나님의 택한 자의 믿음"의 의미에 관한 빈번한 질문에 대답하는 것을 도울 것이다. 이 표현에서 "믿음"은 신자들 개개인의 믿음을 언급할 수 있는 것이 가능할 수 있으며, 따라서 바울의 사도직의 목표를 묘사한다(비록 현대 번역에서 채택된 구절을 읽는 것에 대해 특유하게 강하고 논쟁적인 주장을 하는 것에 대해 관심있는 독자는 윌리엄 켈리의 이 구절에 대한 주석을 보아야 할 것이다). 그러나 목회 서신의 직접 접해 있는 맥락과 독특한 점을 감안할 때, 여기에서 바울은 진리의 본체에 대한 묘사로서 객관적으로 "믿음"이라는 용어를 사용한다는 가능성이 더 크다. "성도들에게 단 한 번 전달된 믿음"( 3KJV). 따라서 그는 자신의 사도직에 대해 중요한 주장을 하고 있다. 그것은 "하나님께서 선택하신 자들의 믿음"(KJV ) "진리의 완전한 지식"(ISV)에 견고하게 서 있다(1:1). 바울의 사도직은 진리의 왜곡에서 출발하지 않았다; 그는 "거짓말 할 수 없는 하나님"의 신실한 종이다.

 

So we see in these verses the model of Paul’s apostleship. He takes his place alongside Moses and the OT prophets as the “servant of God.” We have the message of His apostleship, the promise of the “un-lie-able God,” in full conformity with “the faith of God’s elect” and “the truth which is after godliness.” But we also have the method of Paul’s apostleship, for God has entrusted him with both a message and a mode of delivery: “… hath in due times manifested his word through preaching, which is committed unto me according to the commandment of God our Savior” (v3, KJV). There is a clear reference here to the great dispensational program of revelation. God’s promise had its origin in eternity, “before the world began,” but only now, “at the proper time”(ESV), has it been revealed. And it has been revealed by means of preaching. Preaching, proclaiming as a herald, is God’s chosen means for the communication of truth in this dispensation, and it remains so, even as our society turns from the verbal to the visual, and allows its non-stop diet of digital diversion to whittle away at its attention span and its ability to follow linear reasoning. As a mode of communication, preaching seemed a foolish thing to the intellectual elite of Corinth. It still seems so to many. But for the “due time” of this dispensation, it is the means that God has chosen, and it remains, therefore, the means that we must use.

 

그래서 우리는 이 구절에서 바울의 사도직에 관한 본을 본다. 그는 모세와 구약의 선지자들과 나란히 "하나님의 종"으로 자신의 위치를 취한다. 우리는 "하나님의 택한 자의 믿음"하나님의 성품을 따르는 진리와 함께 완전히 순응하므로 "거짓말 할 수 없는 하나님"의 약속을 그분의 사도직에 관한 메시지로 가지고 있다. 그러나 우리는 또한 바울 사도직의 방식을 가지고 있는데, 왜냐하면 하나님은 메시지와 전달 방식을 모두 그에게 맡기셨기 때문이다: "자신의 말씀은 하나님 곧 우리의 구원자의 명령에 따라 내게 맡겨진 복음 선포를 통하여 정하신 때에 드러내셨느니라"(3KJV). 여기에는 계시의 위대한 경륜의 시대 진행에 대한 명확한 언급이 있다. 하나님의 약속은 "세상이 시작되기에 앞서" 영원한 기원을 가지고 있지만 오직 지금은 적절한 때에 드러내셨다(ESV). 그리고 그것은 복음 선포를 통하여 드러내셨다. 선포자로서 나타내는 복음 전도는 이 세대에 진리를 전하기 위해 하나님이 택하신 방법이며, 우리 사회가 말로 표현하는 것에서 시각적으로 바뀌더라도 디지털방식 전환의 끊임없는 다이어트는 집중 시간이 허물어 지고 선형 추론법을 따르는 능력을 허용한다. 의사 소통의 한 형태로서 복음전도는 고린도의 지적 엘리트층에는 어리석은 것처럼 보였다. 아직도 많은 사람들에게 그렇게 보이는 것 같다. 그러나 이 경륜에 대한 "정해진 때"는 하나님이 선택하신 방법이며, 따라서 우리가 사용해야 하는 수단으로 남아 있다.

 

By the time we reach the end of the opening paragraph of the epistle, Paul has clearly established his authority, and the authority of the message that has been entrusted to him. Therefore, he is able to put his arm around Titus and say, “This is my own son after the common faith – he speaks for me.” This authentication would prove vital as Titus moved among the assemblies in Crete, setting in order the things that were wanting (v5). It is crucial to grasp the significance of this authentication. Paul’s writings are not merely those of a clever man, nor are they merely those of a deeply spiritual man. They are the words of the bondservant of God, uniquely entrusted with the revelation of divine truth. He speaks to us still, and he does so with an apostolic authority that we cannot disregard, for he communicates truth revealed by the God Who cannot lie. And, while, in our study of Scripture, we rightly consider the distinctiveness of the revelation given to Paul, and the way in which his personality is expressed in his writings, we must never lose sight of the fact that the Bible is one Book, a harmonious whole, that speaks with one voice. It is not a patchwork of Pauline truth and Johannine truth, and Lukan truth, but it is the truth – singular and objective, an enduring monolith towering above the fractured fragments of human knowledge.

 

서신서의 첫 단락 끝에 도달할 때까지 바울은 자신의 권위와 그에게 맡겨진 메시지의 권위를 분명하게 확립했다. 그러므로 그는 디도에게 자신의 권위를 가질 수 있음을 말한다 "이는 공통된 믿음을 따라 된 나의 아들이다 - 그가 나를 위해 말한다." 이 입증은 디도가 부족한 것들을 바로잡고 그레데에 있는 모임들 가운데 활동할 때 필수적이었다(5). 이 입증의 의미를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다. 바울의 글들은 단순히 현명한 사람의 것이 아니며 또한 깊은 영적인 사람의 것도 아니다. 그것들은 하나님의 종의 말씀이며, 하나님의 진리의 계시를 유일하게 위임 받은 것이다. 그는 여전히 우리에게 말하고 있으며, 우리가 무시할 수 없는 사도적 권위를 가지고 그렇게 한다, 그는 거짓말 할 수 없는 하나님에 의해 계시 된 진리를 전하고 있기 때문이다그리고 우리가 성경 공부를 하면서 바울에게 주어진 계시의 독특함과 그의 인격이 그의 글에서 표현되는 방식을 올바르게 고려함으로 성경이 한 목소리로 말하는 조화롭고 완전한 하나의 책이라는 사실을 결코 놓치지 말아야 한다. 사도의 진리와 요한의 진리, 그리고 누가의 진리를 끼워 맞춘 것이 아니지만, 그것은 진리이다 - 단일성과 객관성, 인간 지식의 분쇄된 파편들 위에 영속적으로 우뚝 솟아있는 기념비다.

 

The epistle to Titus makes it clear what we are to do with this truth. We are to hold it fast, as the faithful word, in dramatic contrast to that of the gainsayers (1:9KJV), the “unruly and vain talkers and deceivers” (1:10KJV), the teachers of “Jewish fables” (1:14KJV), and those who professed to know God, but in works denied Him. We are to teach it, as health-giving doctrine that will stop the mouths of its opponents (1:9,11). And we must live it, for it is the truth “that is in keeping with godliness” (NET) and it is our responsibility to live our lives, in every aspect, in such a way that we may “adorn the doctrine of God our Savior in all things” (2:10KJV).

 

디도서는 우리가 이 진리로 무엇을 해야 하는지를 분명히 한다. 우리는 반박하는 자들과는 크게 대조적으로 신실한 말씀을 굳게 붙들 것이며(1:9, KJV), "헛된 말을 하고 속이는 자들"(1:10, KJV), "유대인들의 꾸며 낸 이야기를 가르치는 자들"(1:14, KJV)과 하나님을 알고 있다고 공언한 사람들이 있지만, 그분을 부인하고 있다. 우리는 상대방의 입을 막을 건전한 교리로서 그것을 가르쳐야 한다(1:9,11). 그리고 그것은 경건을 유지하는 것"이 진리에 있기 때문에 우리는 그렇게 살아야 하고(NET) 우리는 "모든 일에서 우리의 구원자 하나님의 교리를 빛내게 하려 함이니라”(2:10, KJV)고 할 수 있으며 우리가 모든 측면에서, 그러한 방식으로 우리의 삶을 살아가는 것은 우리 책임이다.

 

 


'말씀 안으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아가페 사랑 (2)  (0) 2019.09.10
아가페 사랑(1)  (0) 2019.09.10
우리의 입술에 은혜를  (0) 2019.08.13
은혜의 왕좌(보좌)  (0) 2019.08.08
주 예수 그리스도의 이름  (0) 2016.12.15
이스라엘과 교회  (0) 2014.04.15
예언의 해석  (0) 2014.03.28
지역교회에서 사용되는 은사  (0) 2013.10.10
posted by 징검 다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