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로그 이미지
징검 다리
그분은 모든 사람이 구원을 받고 진리를 아는 데 이르기를 원하시느니라(딤전 2:4) __________ 신앙상담은 asan1953@naver.com

calendar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Recent Post

theWord Bible Software

Category

Chapter 6 - The Local Church And Its Commemoration
6: 지역 교회와 그 기념(3)

J. 패터슨 Jnr. 스코틀랜드

“This is My Body”

Before looking at the bread and the cup let us look at a common error on the subject. Many readers of this book are in assemblies planted in villages and towns, which are populated mainly by Roman Catholics, and therefore regularly come into contact with those who practise and propagate error. Some believers are also engaged in personal and public evangelism among such. Keeping in mind that this publication is to help young believers particularly, it will do no harm to use the negative to endorse the positive!

 

이것은 내 몸이다

떡과 잔을 바라보기 전에 주제에 관한 일반적인 오류를 살펴보자. 이 책의 많은 독자들은 마을과 도시들에 세워진 모임들에 있으며, 주로 로마 카톨릭에 의해 채워져 있으며 따라서 정기적으로 오류를 행하고 전파하는 사람들과 접촉하고 있다. 일부 신자들은 또한 그와 같은 것 중에 개인적, 공적 복음 전파에 종사하고 있다. 이 책자는 특히 어린 신자들을 돕기 위한 것을 염두에 두며, 긍정적인 뒷받침을 하고 부정적으로 사용하는 어떤 해로움도 하지 않을 것이다!

 

Since 1215, the Church of Rome has propagated the dogma of Transubstantiation that was endorsed in the 16th century by the Council of Trent. Today it is firmly held by those of the Catholic religion, and is taught from childhood. Even school children will argue their belief in this error! They believe that the bread and wine become the actual body, soul and divinity of Christ, and while they eat the wafer they believe that this has become the actual flesh and blood of Christ. This transformation takes place as the priest consecrates the bread when he says the words, “this is my body”, and as the priest distributes the bread or wafer, he says to each communicant, “the body of Christ and the blood of Christ”.

 

1215년부터 로마 교회는 트렌트공회에 의해 16세기에 승인되었던 화체설의 교리를 전파했다. 오늘날 그것은 카톨릭 종교의 사람들에 의해 확고하게 유지되고 있으며 어린 시절부터 가르쳐지고 있다. 심지어 학생들이 이 오류에서 그들의 믿음을 주장할 것이다! 그들은 떡과 잔이 실제적인 몸, 혼과 그리스도의 신성이 된다고 믿으며, 동시에 그들이 성체를 먹고 그들은 그리스도의 실제적인 몸과 피가 되었다고 믿는다. 이 변형은 이것은 내 몸이다라는 말씀을 그가 말할 때 성직자가 떡을 신성하게 함에 따라 일어나며, 성직자가 떡이나 성체를 분배함으로 그는 그리스도의 몸과 그리스도의 피라고 각각의 전달자들에게 말한다.

 

They take the actual words of the Lord Jesus as absolutely literal in this instance, yet not in so many other occasions! So then after eating they believe that they carry His body, blood, Godhood and manhood shut up in the vessel of their own body. We shall see the true meaning of the emblems as we progress. However, we should state that this false doctrine which maintains a change of the substance of bread and wine, into the substance of Christ’s body and blood by the consecration of a priest, or by any other way, is absolutely false, not in relation to Scripture alone, but even to common sense. It is really an effort to overthrow Scripture and is in itself the root of many superstitions and much idolatry.

 

그들은 이 경우에 절대적으로 문자 그대로 주 예수님의 실제 말씀을 취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다른 많은 행사에는 그렇게 하지 않는다! 그래서 먹은 후에 그들은 자신의 몸의 혈관에 들어온 그분의 몸, , 신성, 인성을 수반한다고 믿는다. 우리는 우리가 진행하는 것에 따라 상징적인 참된 의미를 볼 것이다. 그러나 우리는 성직자가 신성하게 하거나 다른 방법에 의해 그리스도의 몸과 피의 물질 상태로 떡과 잔의 물질의 변화를 주장하는 이것이 거짓 교리인 것을 말할 것이다, 절대적으로 거짓이다, 성경에 관련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심지어 상식도 아니다. 그것은 실제로 성경을 뒤집기 위한 노력이며, 그 자체로 많은 미신과 우상 숭배의 뿌리이다.

 

In addition they hold the Mass, and claim that this is a constantly repeated, real, though bloodless, sacrifice atoning for sin and propitiating God. As they partake of the ‘sacrament’ with their ritualistic prayers and incantations, they claim to be carrying out “the greater worship of God and edification of the people by their eating the body of Christ”. This belittles the singular, everlasting sacrifice of the Lord Jesus. Scripture is clear that this is wrong. “Nor yet that he should offer Himself often, as the high priest entereth into the holy place every year with blood of others; For then must He often have suffered since the foundation of the world: but now once in the end of the world hath He appeared to put away sin by the sacrifice of Himself. And as it is appointed unto men once to die, but after this the judgment: So Christ was once offered to bear the sins of many; and unto them that look for Him shall He appear the second time without sin unto salvation” Heb.9.25-28. Also, “By the which will we are sanctified through the offering of the body of Jesus Christ once for all. And every priest standeth daily ministering and offering oftentimes the same sacrifices, which can never take away sins: But this man, after He had offered one sacrifice for sins for ever, sat down on the right hand of God; From henceforth expecting till His enemies be made His footstool. For by one offering He hath perfected for ever them that are sanctified. Whereof the Holy Ghost also is a witness to us: for after that He had said before, this is the covenant that I will make with them after those days, saith the Lord, I will put my laws into their hearts, and in their minds will I write them; And their sins and iniquities will I remember no more. Now where remission of these is, there is no more offering for sin” Heb.10.10-18.

 

또한 그들은 미사를 지속하며, 이것이 실제적인 피흘림이 없이 죄에 대한 속죄와 하나님과 화목을 끊임없는 반복을 요구한다. 그들은 그들의 의식적인 기도와 주문과 함께성사의 참여로, 그들은더 큰 하나님에 대한 예배와 그리스도의 몸을 먹음으로 사람들의 덕을 세우는 일을 수행한다고 주장한다. 이것은 주 예수님의 단번에 영원한 희생을 과소평가한다. 성경은 이것이 잘못되었음을 분명히 한다. “또 그분께서는 대제사장이 해마다 다른 것들의 피를 가지고 거룩한 곳에 들어가는 것 같이 자주 자신을 드려야 할 필요가 없으시니 그랬더라면 그분께서 반드시 창세 이래로 자주 고난을 당하셨어야 할 것이라. 그러나 이제 세상 끝에 그분께서 단 한 번 나타나사 자신을 희생물로 드려 죄를 제거하셨느니라. 한 번 죽는 것은 사람들에게 정해진 것이요 그 뒤에는 심판이 있나니 이와 같이 그리스도께서도 많은 사람의 죄들을 담당하시려고 단 한 번 드려지셨으며 또 자신을 기다리는 자들에게 죄와 상관없이 두 번째 나타나사 구원에 이르게 하시리라”( 9:25-28) “바로 이 뜻으로 말미암아 예수 그리스도의 몸이 단 한 번 영원히 드려짐을 통해 우리가 거룩히 구별되었노라. 제사장마다 날마다 서서 섬기며 자주 같은 희생물들을 드리되 그것들은 결코 죄들을 제거하지 못하거니와 오직 이 사람은 죄들로 인해 한 희생물을 영원히 드리신 뒤에 하나님의 오른편에 앉으사 그 이후부터 자기 원수들이 자기 발받침이 될 때까지 기다리시느니라. 그분께서는 거룩히 구별된 자들을 단 한 번의 헌물로 영원토록 완전하게 하셨느니라. 이것에 대하여는 성령님께서도 우리에게 증인이 되시나니 그분께서 앞서 이르시기를, 그 날들 이후에 내가 그들과 맺을 언약이 이것이라. 주가 말하노라. 내가 내 법들을 그들의 마음속에 두고 그들의 생각 속에 그것들을 기록하리라, 하신 뒤에 또, 내가 그들의 죄들과 불법들을 다시는 기억하지 아니하리라, 하셨느니라. 이제 이것들의 사면이 있는 곳에서는 다시는 죄로 인한 헌물이 없느니라”(10:10-18).

 

What does the bread convey to us? The bread taken on the night in which the Supper was instituted, was that which was before them on the table after the Passover meal. On that first occasion this would have been unleavened bread, however, later the early believers used the everyday bread that was available. There has been controversy over the years as to what should be used, but we should take note that as no part of the significance of the ordinance depends on the type of bread used, nor is there any precept on the subject, we should therefore take care not to divide on account of personal preference. While the emblems are fundamental to the occasion, occupation with the emblem means that our occupation with the subject, i.e. Christ, is not complete. The Lord took the bread that was conveniently to hand on the occasion; therefore the saints today should do the same without question. The statement made by the Lord Jesus intimated to those gathered that the broken bread which He held in His hands was an emblem of His body. As shown above, this statement has been taken out of context to propagate error. However, He is using the same language as He does, for example, throughout John’s gospel when He likens Himself to various objects. Some are, “I am the true vine”, “I am the bread of God”, “I am the door”. To paraphrase, He says, “This bread which I hold in My hands and give to you represents My body.” That is, it is the symbol of His body. The Lord Jesus Christ, becoming incarnate, had taken a physical body so that by His atoning sacrifice He might yield His body up for death by crucifixion. This is seen in the phrase “which is for you”, 1 Cor.11.24.

 

떡은 우리에게 무엇을 전달하는가? 만찬이 제정 된 밤에 떡을 취하신 것은 유월절 식사 후 그들 앞에 상에 있었던 것이었다. 첫 번째 경우에 이것은 누룩을 넣지 않은 떡이었을 것이지만, 나중에 초기 신자들이 사용할 수 있었던 것은 일상의 떡을 사용했다. 그 점에서 사용되어야 하는 것에 관해 논쟁이 긴 세월에 걸쳐 있었지만 우리는 사용된 떡의 종류에 규례에 관한 중요성의 어떠한 부분에 의존함이 없는 것에 유의해야 할 것이다, 또한 주제에 어떤 교훈도 없다, 우리는 개인적인 선택 때문에 나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 상징은 행사에 근본적일지라도 상징이 가진 일은 주제 즉 그리스도와 가지는 우리의 일이 완전하지 않은 것을 의미한다. 주님께서 떡을 잡으신 것은   그 상황에 편리하게 전달하는 것이었다; 따라서 오늘날 성도들은 의심없이 동일하게 수행해야 할 것이다. 주 예수님께서 하신 표현은 그분께서 그분의 손에 잡은 것은 그분의 몸을 상징했던 떡을 떼신 것을 모인 사람들에게 의미했다. 위에서 보인 것같이 이 표현은 잘못을 전달하는 맥락에서 꺼내게 되었다. 그러나 그는 그분께서 행하심처럼 동일한 언어를 사용하고 있다, 예를 들어, 요한복음을 통해 그는 다양한 개체들을 그분 자신을 비유한다. 그 중에내가 참 포도나무요”, “나는 하나님의 떡이다” “내가 문이니”. 의역으로 그분은 말씀한다, “내가 내 손에 잡고 있는 이 떡은 너희에게 주는 내 몸을 의미한다.” , 그것은 그분의 몸의 상징이다. 성육신 하신 주 예수 그리스도는 육체의 몸을 가지셨으며 그래서 대속의 희생에 의해 그분은 십자가의 죽음으로 그분의 몸을 내어주실 수 있었다. 이것은 고전 11:24너희를 위해 있는이라​​는 문구에서 볼 수 있다.

 

Most manuscripts would omit the word “broken”, in 1 Corinthians chapter 11, and so while we break the bread as He did after giving thanks, we must remember the Scripture, “A bone of Him shall not be broken” Jn.19.36. Likewise, Scripture gives no suggestion that the wounds in His hands, feet and side were the breaking of His body. The giving of Himself emphasises the sacrificial nature of His work.

 

대부분의 사본은 고린도전서 11장에서떼었다단어를 생략하였을 것이며, 그래서 우리는 그분께서 감사를 하신 후 하셨던 대로 떡을 떼는 것과 동시에 우리가그의 뼈가 하나도 꺾이지 아니하리라”( 19:36)는 성경을 기억해야 한다.  마찬가지로 성경은 그분의 손, 발과 옆구리에 상처가 그분의 몸의 찢어짐이었던 어떤 암시도 주지 않는다. 그분 자신을 주심은 그분의 사역의 희생의 성격을 강조하고 있다.

 

As we gather to remember Him, the brother who breaks the bread is not representing the Lord Jesus, nor taking His place. In dividing the loaf, he is simply acting as a servant of the gathered company. The loaf is broken and each participates in the commemoration by partaking from the same loaf.

 

우리가 그분을 기념하기 위해 모임으로 떡을 떼는 형제는 주 예수님을 대표하거나 또한 그분의 위치를 취하지 않는다. 한 덩이의 떡을 나눔으로 그는 단순히 모인 교제의 종의 역할을 하고 있다. 한 덩이의 떡은 찢어졌으며 각자는 동일한 한 떡에서 참여함으로 기념에 참여한다.

 

“In like manner the cup”

The reference to the “blood of the new testament (covenant)” 1 Cor.11.25; Matt.26.28; Mk.14.24; Lk.22.20, is important, for it stands in contrast to the Old Covenant based on the blood of the Passover lamb. In Jer.31.31 the promise was made of a new covenant with Judah and Israel, “Behold, the days come, saith the LORD, that I will make a new covenant with the house of Israel, and with the house of Judah.” However, no information was provided then as to how this new covenant would be established, nor indeed when. In Hebrews chapters 9 and 10 it is shown that the New Covenant has to be ratified by blood, i.e. death, and that the blood of Christ. It is not until His words in the upper room that the Lord Jesus revealed that His blood allows the provision of the New Covenant to be put into effect. In effect the covenant is still future for Israel, but the blessing of it is present for us, His blood being, “shed for many for the remission of sins” Matt.26.28. There we have the purpose of the shedding of His blood. In Mark’s account we have the persons for whom the blood was shed, i.e. “many” Mk.14.24. Luke, when he records the words of the Lord Jesus, shows how personal the act is, “shed for you”, Lk.22.20. These are different forms of expressing the sacrificial character of the death of Christ.

 

잔을 같은 방식으로

신약(언약)의 피(고전 11:25; 26:28; 14:24, 22:20)에 대한 언급은 유월절의 어린양의 피를 바탕으로 옛 언약에 대해 대조적인 그 의미에 대해 중요하다. 31:31에 약속은 유다와 이스라엘과 가진 새 언약이 되었다주가 말하노라. 보라, 날들이 이르리니 내가 이스라엘의 집과 유다의 집과 새 언약을 맺으리라.” 그러나, 이 새 언약이 확립될 방법에 관해서 어떤 정보도 참으로 그 후에 제공되지 않았다. 히브리서 9, 10장에서 그것은 새 언약이 피, 즉 죽음과 그리스도의 피에 의해 비준되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그것은 주 예수님께서 그분의 피가 실행하는 것에 대한 새 언약의 규정을 허용하는 것을 드러내셨던 다락방에서 그분의 말씀까지가 아니다. 효과에서 언약은 이스라엘에 대해 여전히 미래이지만, 그것의 축복은 우리를 위해 존재하며, 그분의 피의 존재는죄들의 사면을 얻게 하려고 많은 사람을 위하여 흘린”(26:28) 피다. 이에 우리는 그분의 피 흘림의 목적을 가진다. 마가의 설명에서 우리는 피가 흘려졌던 사람이 있다, 많은 사람”(14:24). 누가는 그가 주 예수의 말씀을 기록 할 때, 개인적인 행동이너희를 위하여 흘리는”( 22:20) 방법을 보여준다. 이들은 그리스도의 죽음의 희생적인 특성의 표현의 다른 형태이다.

 

His blood then ratifies the covenant that was made by God. Please note that the four references mentioned above where the word ‘testament’ is used in the A.V. are best translated ‘covenant’. The Old Covenant was ratified by the blood of animals, while the new, by the blood of the eternal Son of God. While God made an unconditional covenant with Abraham, the covenant being considered here was a mutual agreement between two parties, namely God and the nation of Israel. It was an agreement based on obedience. The New Covenant was made essentially with the Jews (see Jer.31.31 above). Believers today are on the ground of God’s grace; no covenant was made with the assembly – it has been called in the eternal purpose of God. Saints of this day enter into their blessings through the blood of Christ in just the same way as the restored Jewish nation will enter into their blessings under the New Covenant. The fact that we are not under covenant does not minimise in any way the great truth of 1 Cor.11.25. We presently enjoy spiritual freedom and promise, peace and prosperity, the reality of which a restored Israel will come into literally at a future date.

 

그분의 피가 하나님에 의해 만들어진 언약을 비준한다. 흠정역에 사용된 단어유언에 사용되는 위에서 언급한 네 가지 참조를 주목하기 바란다. 옛 언약은 동물의 피에 의해, 동시에 새 언약은 하나님의 영원한 아드님의 피에 의해 비준되었다. 하나님께서 아브라함과 가진 언약을 무조건적인 반면, 여기에 간주되고 있는 언약은 두 당사자 사이, 다시 말해서 하나님과 이스라엘 국가 사이에 상호간 계약이다. 그것은 순종을 기준한 계약이었다. 새 언약은 본질적으로 유대인과 함께 만들어졌다(위에 렘 31:31 참조). 오늘날 신자들은 하나님의 은혜의 근거로 있다; 어떤 언약은 모임과 함께 있지 않았다 - 그것은 하나님의 영원한 목적에서 부름 받았다. 이 시대의 성도들은 회복되는 유대인 민족처럼 동일한 방법으로 그리스도의 피를 통해 축복으로 들어가는 것은 새 언약에 따른 그들의 축복으로 들어갈 것이다. 우리가 언약 아래 있지 않다는 사실은 고전 11:25의 위대한 진리를 어떤 방식으로 최소화하지 않는다. 현재 우리는 영적인 자유와 약속, 평화와 번영, 회복된 이스라엘의 실재는 미래의 날에 그대로를 보여줄 것이다.

 

The Lord’s Supper is a commemoration of Christ’s person, life, work and death, and so the loaf and the cup are significant symbols of His body given and blood shed. Although the blood of the New Covenant was shed in the death of Christ, it was at the same time, “shed for many” Matt.26.28, not only for the benefit of many, but the specific object being, “for the remission of sins,” Matt.26.28. It was therefore a sin offering, which while making expiation for sin, ratifies the covenant of grace.

 

Without further development of the fact, it should be noted that in every reference, “the cup” is singular. There is no Scriptural basis for the use of multiple cups.

 

주의 만찬은 그리스도의 사람, , 사역, 죽음의 기념이며, 따라서 한 덩이의 떡과 잔은 그분의 몸을 주심과 피 흘리심의 중요한 상징이다. 새 언약의 피가 그리스도의 죽음에서 흘려졌음에도 불구하고 그것은 동일한 시간에 있었다, “많은 사람을 위하여 흘리는(26:28), 뿐만 아니라 많은 사람의 유익을 위함이지만, 특정 목적이 존재함과 동시에 죄에 대한 속죄, 은혜의 언약을 비준한다.

 

사실 그 이상의 확장이 없는 그것은 모든 언급에서이 특이하다는 것을 주목해야 할 것이다. 여러 잔의 사용에 대한 성경적 근거는 없다.

 

http://www.assemblytestimony.org/

posted by 징검 다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