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로그 이미지
징검 다리
그분은 모든 사람이 구원을 받고 진리를 아는 데 이르기를 원하시느니라(딤전 2:4) __________ 신앙상담은 asan1953@naver.com

calendar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Recent Post

theWord Bible Software

Category

Chapter 8: The Local Church And Its Collections
8: 지역 교회와 연보(3)

토마스 벤틀리, 말레이시아

Corrected Giving - Gal 6:6-10

It is without controversy that the letter to the Galatians is corrective in nature. Paul senses the absence of fidelity to all that he taught during his time of valued service, to which he makes several appealing references. Obviously the saints require a reiteration of their privileges and also of their responsibilities so as to respond and hence recover, the vital and spiritual character and conduct of the assemblies, that answer to the mind and will of God.

 

올바른 드림 - 갈 6:6-10

그것은 갈라디아서가 본질 안에서 교정하는 것은 논쟁의 여지가 없다. 바울은 그가 섬김이 존중되는 것에 관해 그의 시대 동안 가르쳤으며 모두에게 충실함의 결핍을 느낀 그것에 대한 몇 가지 마음을 끄는 언급을 한다. 분명히 성도들은 그들의 특권과 또한 그들의 책임의 반복을 요구하고 그 정도로 반응하며 따라서 회복하며, 하나님의 마음과 뜻에 대답하는 것은 모임들의 극히 중대하고 영적인 특성과 행동이다.

 

It is necessary for each of us to realise the ministry that Paul gives in the verses dealing with giving is clearly presenting truths that are imperative. Paul applies the message personally “Let him ...” v.6. He then denotes the ongoing privilege of receiving Scriptural instruction, “Let him that is (being) taught”. Evidently the words that follow denote a directive. The privilege always denotes a responsibility which Paul states can be fulfilled by practical communication of a gift in keeping with one’s exercise. Hence we have here a clear reference to personal giving.

 

그것은 섬김을 이해하려는 우리의 각자를 위해 필요하며 바울이 드림을 다루는 구절들에서 제시하는 것은 진리를 제시하는 데 필수적이라는 것이 명확하다. 바울은 개인적으로 메시지를 적용한다, “…그에게 하라”(6). 그는 그 다음 성경적 교훈을 받아들이는 지속적인 특권을 나타낸다, “가르침을 받는 자는 말씀을 가르치는 자와 모든 좋은 것을 함께 하라.” 분명하게 뒤이어 계속되는 단어는 지시어를 나타낸다. 특권은 항상 책임을 나타내며 바울의 형편은 자신의 실행과 더불어 선물의 유지에 실제적 전달에 의해 완수할 수 있다. 따라서 우리가 개인적인 드림에 대한 명확한 기준을 여기에 갖추고 있다.

 

Usually the next verse, v.7, is treated as being apart from the foregoing directives, but let us see it as corrective. The verse very obviously deals with sowing and reaping: “Be not deceived; God is not mocked: for whatsoever a man soweth, that shall he also reap.” Such concepts have been used by Paul elsewhere in the context of giving, “If we have sown unto you spiritual things, is it a great thing if we shall reap your carnal things?” 1 Cor.9.11. Later in 2 Cor.9.6, Paul adds both a negative and positive assurance: “He which soweth sparingly shall reap also sparingly and he which soweth bountifully shall reap also bountifully.”

 

일반적으로 다음 구절 7절은 앞서 말한 지침으로부터 떨어져 있는 것으로 취급되지만, 교정함으로 그것을 우리에게 보이자. 구절은 매우 분명하게 파종과 수확을 함께 다룬다: “속지 말라. 하나님은 조롱당하지 아니하시나니 사람이 무엇을 심든지 그대로 거두리라.” 러한 개념들은 드림의 맥락에서 다른 곳에 바울에 의해 사용되고 있다, “우리가 너희에게 영적인 것들을 뿌렸은즉 너희의 육적인 것들을 거둔다 해도 그것이 큰일이냐?”(고전 9:11). 나중에 고후 9:6에서 바울은 부정적인 것과 긍정적인 확신을 모두 추가한다: “이것이 곧 적게 심는 자는 적게 거두고 많이 심는 자는 많이 거둔다 하는 말이로다.”

 

It is truly possible we could disregard Paul’s advice here on giving and we might never expect God to deal with us because of our obvious neglect of responsibility. Our God is observant, so we ought not to disregard the directives He imparts. The ability of the apostle as led by the Spirit of God, to draw upon simple, yet vital illustrations for the spiritual enrichment of the saints, is, needless to say educative. It is the power and prerogative of the Spirit to remind us of how we should respond to Divine directives. Sadly, if we fail to do His will, it becomes regrettable evidence of the influence of the flesh. Surely it is our utmost desire to obey the directives of the Word by always doing good. The advice of v.10 “Let us do good unto all …” can be taken as being conclusive.

 

그것은 우리가 드림에서 여기에 바울의 충고를 무시할 수 있었던 것과 우리의 명백한 책임의 태만 때문에 하나님이 우리를 다루시려는 것을 결코 기대하지 않을 수 있다는 것이 진실로 가능하다. 우리의 하나님은 관찰하신다, 그래서 우리는 그분께서 부여하시는 지침을 무시하지 않아야 한다. 성도들의 영적 강화를 위해 간단하면서도 중요한 그림에 그려 사도의 능력은 하나님의 성령에 의한 인도로 단순하게 이끌리므로, 그러나 성도들의 영적인 부유를 위한 중요한 그림은 말할 것도 없이 교육적이다. 우리가 하나님의 지시에 응답해야 하는 방법을 우리에게 생각나게 하는 것은 성령의 능력과 특권이다. 슬프게도 우리가 그분의 뜻을 행하는데 실패할 경우, 그것은 육체의 영향의 유감스러운 증거가 된다. 확실하게 그것은 항상 좋은 일을 행하여 말씀의 지시에 순종하려는 최선 욕망이다. 10절의 충고 모든 이에게 착한 일을 하되…” 결정적인 것으로 취할 수 있다.

 

Consistent Giving - Phil 4:10–19

One remarkable feature of Paul’s communications by letter to any Macedonian assembly that must be recognised is that he never exerts his power nor expresses his position as an apostle. As has been noted already, when he is referring to the Macedonian saints it is always complimentary, see 2 Cor.8.1; 11.9. On the subject of giving, Paul’s language and joy reflect the thoughtfulness and constant support the Philippians maintained for him wherever he went in the service of the Lord. Such an exercise today is surely expected from saints who value the fulness of Divine grace, and hence are unfailing in their sustaining provision for those who serve God faithfully.

 

일관된 드림 - 4:10-19

모든 마케도니아 모임에 대한 편지로 바울의 전달 중 한가지 놀라운 기능은 그가 그의 위치를 표현하지 않고 사도로서 그의 능력을 결코 행사하지 않는 것이 인식되어야 하는 것은 인정되어야 한다. 이미 언급된 바와 같이 그가 마케도니아 성도들을 언급하는 때 항상 칭찬하고 있다, 고후 8:1; 11:9을 참조하라. 드림의 주제로 바울의 말과 기쁨은 빌립보인들이 그를 위해 유지했던 사려깊음과 지속적인 지원을 반영하며 어디에서나 그는 주님에 관한 섬김으로 나아갔다. 오늘날 그러한 실행은 하나님의 은혜의 충만을 높이 평가하는 성도들에게 확실히 기대된다, 따라서 하나님을 충실하게 섬기는 사람들에 대한 그들의 떠받치는 준비는 신뢰할 수 있는 것이다.

 

V.10. “But I rejoiced in the Lord greatly, that now at the last your care of me had flourished again, wherein ye were also careful, but ye lacked opportunity.” Paul is anxious to show that he is truly grateful, and that his sincerely expressed gratitude is not an expectation of future favours. It can be described as A Service to be Esteemed. The word “care” or “to think”, describing the thoughtfulness of the Philippians, is the same word as in 2.5, “the mind” that was in Christ Jesus, and it certainly enhances the exercise of the saints in Philippi.

 

10. 내가 주 안에서 크게 기뻐함은 너희가 나를 생각하던 것이 이제 다시 싹이 남이니 너희가 또한 이를 위하여 생각은 하였으나 기회가 없었느니라.” 바울은 그가 진실로 감사하는 것을 나타내는 것을 열망한다, 그리고 그의 감사를 마음으로부터 나타내었던 것은 장래의 호의를 바라는 것이 아니다. 그것은 존경해야 할 섬김이라고 할 수 있다. 빌립보인들의 사려 깊음을 설명하는 배려또는생각하는단어는 2:5에서와 같은 동일한 단어이며 그것은 그리스도 예수 안에 있었던 마음이다, 확실히 빌립보에 있는 성도들의 실행을 향상시켰다.

 

V.11. Paul is exceedingly anxious that the saints do not misjudge his language, for in v.11 he expresses ever so clearly A State to be Envied: “Not that I speak in respect of want: for I have learned, in whatsoever state I am, therewith [therein] to be content.” Paul is clearly anxious that the saints do not misinterpret his return of thanks as indicating that he is expecting more from their hand and heart of love. Several forms of learning are clearly recognisable in the New Testament, e.g. Acts 26.24 where the word “gramma” is used as defining what the reader would learn from reading. Another interesting word that is used frequently in our New Testament and describes another form of learning, which is that by teaching, is the word “didaskalia”, Rom.15.4. However, the word that is used here is “manthano” which is clearly experimental, and we note with interest that it is used of the Lord Jesus Himself in Heb.5.8. Hence it is in the school of discipline and experience that any true servant of the Lord can leave his situation with God. Note that in quoting the verse above, the word “therewith” is not used, as it is misleading, because it would be totally wrong to infer that Paul was content with his lot, but rather it was in spite of it. Actually, the word “arkeo” which is the root of the word in the text, signifies “to suffice” as in 2 Cor.12.9. Let us make sure that whatever our circumstances may be, our joy and peace, our labour and love, are totally independent of circumstances.

 

11. 바울은 그가 심지어 그렇게 부러워 할 상태를 표현하는 11절에 대해 성도들이 자신의 말을 잘못 판단하지 않는가 대단히 걱정스러웠다. “내가 궁핍하므로 말하는 것이 아니라 어떠한 형편에든지 내가 자족하기를 배웠노니.”  바울은 그가 그들의 수고와 사랑의 마음으로부터 더 많이 기대하고 있는 것을 나타내는 것으로 그의 감사로 보답하면서 성도들이 오해하지 않기를 분명하게 바란다. 배움의 여러 형태는 신약 성경에서 분명하게 인식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사도행전 26:24 “gravmma(그람마) 단어는 독자가 읽는 것으로부터 배울 수 있는 것을 정의로 사용된다. 다른 흥미 있는 단어는 우리의 신약 성경과 가르침에 의해 그것에 있는 배움에 다른 형태의 설명에서 빈번히 사용되고 있으며, 15:4didaskaliva(디다스칼리아) 단어이다. 그러나, 여기에 사용되고 있는 manqavnw(만다노) 단어는 분명한 경험적이다, 그리고 우리는 그것이 히 5:8에서 주 예수님 그분 자신에 관해 사용되고 있는 것이 흥미 있게 주목된다. 따라서 그것은 모든 주님의 진실한 종이 하나님과 자신의 상황을 떠날 수 있는 훈련과 경험의 학교이다. 주목할 것은 그것과 함께단어를 절 안에 인용하는 것은 사용되지 않는다, 그것의 오해의 소지로 그것이 추론하려는 전적으로 잘못될 수 있기 때문에 바울은 그의 많은 내용이었지만, 오히려 그것에 관계없이 있었다. 실제로, “ajrkevw(아르케오) 단어는 텍스트에서 단어의 근원이며, 고후 12:9에서와 같이 만족을 의미한다. 무엇에든지 우리의 상황은 할 수도 있다는 것을 확인하자, 우리의 기쁨과 평화, 우리의 수고와 사랑은 상황이 완전히 독립적이다.

 

V.12. In extension of his thoughtfulness Paul expresses what we could describe as A Secret to be Expounded, for he faces two extremes by declaring, “I know how to be abased, and I know how to abound: in everything and in all things have I learned the secret both to be filled and to be hungry, both to abound and to be in want” (R.V.). It is interesting to observe how Paul changes from “having learned as a devoted disciple”, v.11, to “having been initiated”, v.12, into the secret of being able to face all circumstances by faith and a total reliance upon Him who is all-sufficient.

 

12. 그의 사려 깊음의 연장에서 바울은 우리가 상세히 설명될 은밀한 일처럼 설명할 수 있는 것을 표현하며 그가 나타내는 것으로 두 개의 극단에 직면함에 대해 내가 비천에 처할 줄도 알고 풍부에 처할 줄도 알아 모든 일에 배부르며 배고픔과 풍부와 궁핍에도 일체의 비결을 배웠노라”(RV). 그것은 11헌신적인 제자로서 배운 것에서 12시작되었던 것까지 믿음으로 모든 상황에 직면할 수 있는 비밀과 모든 것이 충분한 그분에게 전체적으로 의존하는 바울의 변화의 방법을 보는 것은 흥미 있다.

 

V.13. Paul uses a most descriptive word to inform the saints at Philippi that by the freely ministered strength of the risen Lord, he can face the changes and conditions life in the service of the Lord can bring: hence we define it as A Strength to be Experienced. The word used here in the text is “ischus” conveying the thought of strength or might, see Eph.1.19; 6.10.

 

13.  바울은 빌립보 성도들에게 부활하신 주님에 관해 자유롭게 섬겼던 힘에 의해 알려주는 매우 서술적인 단어를 사용한다, 그는 주님을 섬기는 삶이 가져올 수 있는 변화와 조건에 직면할 수 있다: 그래서 우리는 경험 될 수 있는 능력으로서 정의한다. 여기 텍스트에 사용 된 단어가 능력과 힘의 생각을 전달하는 jscuvw(이스퀴오)이다, 1:19; 6:10을 참조하라.

 

Vv.14–18. It is clear from v.14 the apostle is anxious that the saints at Philippi do not misunderstand his language and come to the decision that they no longer are to be exercised in sending Paul their tokens of fellowship as in their former manner. So we have here A Sacrifice to be Encouraged. The words are assuring: “Notwithstanding ye have well done, that ye did communicate with my affliction.” Yet again with joy and a deep sense of gratitude he voices the fact that the saints in Philippi were the only ones that supported him after his departure from Macedonia as is stated in v.15. It is interesting to note that Paul seldom mentions his converts in his epistles, as he does here and also in 2 Cor.6.11, where the language is expressively affectionate. Also in Gal.3.1 it is hardly less so, in spite of the epithet. Just how many times the gifts to Paul were sent from the Philippian assembly may be questioned, but the term “once and again” as in v.17 would indicate at least twice. Again Paul is anxious that the saints to whom he writes have a clear understanding of both his message and motives. The apostle is clear in his use of the word “desire”, for the text can be read as “I do not desire the gift, I do desire the fruit”.

 

14-18. 그것은 사도가 빌립보에 성도들이 그의 말과 결정을 내렸음을 오해하지 않고 그들은 더 이상 이전의 방식으로 바울에게 그들의 교제의 표시를 보냄을 행할 수 없는 것을 근심하고 있는 것이 14절에 분명하다. 그래서 우리는 여기에 권고될 희생적 행위를 가진다. 단어는 확신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너희가 나의 고난에 함께 참여하였으니 잘하였도다.” 다시 한번 기쁨과 감사의 깊은 의미와 함께 그가 사실을 표명하는 것은 15절에 언급되는 것으로 마케도니아로부터 떠난 후 그를 지원했던 빌립보 성도들뿐이었다. 그것은 바울이 좀처럼 그의 서신에서 자신의 개종을 언급하지 않는 것을 주목하는 것을 흥미 있으며 그가 여기에 또한 고후 6:11에서 말했던 것처럼 애정이 깊은 표정의 말이다. 또한 갈 3:1에서의 형용어구에도 불구하고 그렇게 더 적지 않다. 바로 빌립보 모임으로부터 보내어졌던 바울에 대한 선물들은 얼마나 많은 회수인지 의심할 수도 있지만, 용어는 17에서처럼한 번 그리고 다시는 최소한 두 번을 나타낼 것이다. 다시 바울은 그가 성도들에게 쓰는 그의 메시지와 동기의 모두에 관한 분명한 이해를 가지고 염려한다. 사도는 원하다단어를 자신의 사용에 분명히 한다 내가 선물을 구함이 아니요 오직 너희에게 유익하도록 과실이 번성하기를 구함이라.”

 

The following important words are used that ought to be noted: “content”, autarkes, v.11, meaning “independent”; “to be full”, chortazo, v.12, meaning “I am full or satisfied”; “I have all”, apecho, v18, meaning “I have everything”; “I am full”, pleroo, v.18, meaning “to make replete or supply liberally”; “abound”, perisseuo, vv.12,18, meaning “I am overflowing”. This last word is used five times in the epistle as well as in Eph.1.8 and Col.2.7. Paul adds that the things which were brought to him by Epaphroditus were “an odour of a sweet smell”. Earlier in the epistle, 2.17, he refers to his own service as a pouring out of the drink offering, and now refers to that of the Philippians in the same light.

 

따르는 주요한 단어는 주목되어야 하는데 사용된다: “만족”,aujtavrkh"(아우타르케스)(11) “자주를 의미; “가득”, cortavzw(코르타조) (12), “나는 가득하고 만족한다는 의미; “모든 것”, pa'"(파스)(18) “나는 모든 것을 가지고라는 의미; “충만하다”, plhrovw(플레로오)(18절) 충만하게 공급하거나 자유롭게 공급의 의미; “풍족한”, perisseuvw(페릿슈오)(12,18) “넘치고 있다의 의미. 이 마지막 단어는 엡 1:8과 골 2:7에 뿐만 아니라 서신서에서 다섯 번 사용되고 있다. 바울은 에바브라디도에 의해 그에게 가져왔던 것들을 추가한 것은 달콤한 냄새의 향기요이었다. 이전 서신 2:17에서, 그는 이 전제로 부어 드림으로 자신의 섬김을 언급하며, 지금도 동일한 빛 안에서 빌립보인들에 관해 언급한다.

 

V.19. The apostle can do no more than thank the saints at Philippi ever so sincerely, but he is sure, and that above everything else, that God will requite them. Paul is sure that his God will fully supply their needs in full accordance with His riches of glory in Christ Jesus. Obviously this can be viewed as A Source To Be Exhausted.

 

19. 사도는 심지어 그렇게 마음으로부터 빌립보 성도들에게 감사하는 것보다 더 할 수 없었지만 그는 하나님이 그들에게 보답하실 것을 다른 모든 것 위에 분명히 한다. 바울은 그의 하나님께서 완전히 그리스도 예수 안에서 영광 중에 그분의 부의 풍성함을 따라서 그들의 필요를 공급하실 것을 분명히 한다. 물론 이것은 소진 될 수 있는 원인처럼 볼 수 있다.

 

V.20. There is A Song to be Expressed, as indeed Paul raises his voice in an acclamation of praise to our God and Father Who is worthy of all the thanksgiving we offer because of all that He is and for all His rich provision for us now, and forever.

 

20. 거기에 표현 될 노래가 있다, 실제로 바울은 우리의 하나님과 아버지에 대한 찬양의 환호성에서 자신의 목소리를 높임으로 지금 우리를 위해 그분의 모든 부를 공급하시는 그분의 모두에 관한 모든 감사의 가치가 있다, 그리고 영원히.

 

What shall I bring to the Saviour?

What shall I lay at His feet?

I have no glittering jewels,

Gold, or frankincense so sweet.

Refrain:

Gifts to the Saviour I’m bringing,

Loves richest treasures to lay

Low at His feet with rejoicing,

Ere yonder sunset today.

What shall I bring to the Saviour?

Lips His dear praises to sing,

Feet that will walk in the pathway

Leading to Jesus the King.

What shall I bring to the Saviour?

Love that is purest and best,

Life in its sweetness and beauty

All for His service so blest.

(Lizzie De Armond)

 

구주께 무엇을 가져 갈까?

그분의 발 앞에 무엇을 놓을까?

화려한 보석이 없다

황금이나 감미로운 유향.

삼가라:

구주께 대한 선물은 내가 가져가는 것

놓여진 부유한 보물을 사랑하라

기쁨으로 그분의 발 아래로

저 곳에 오늘의 일몰에 앞서.

구주께 무엇을 가져 갈까?

입술은 그분의 사랑 찬양 노래하려고,

그 발은 좁은 길을 걸을 것이다

예수님을 왕으로 인도하는.

구주께 무엇을 가져 갈까?

그 사랑은 순수하고 최상이다

그것의 단맛과 아름다움에서 생활

그렇게 복주시는 그분의 섬김 모두.

(리지에 드 아몬드)

 

http://www.assemblytestimony.org/

posted by 징검 다리